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은혜로운큰고래114
은혜로운큰고래114

스테그 인플레이션에대해서 알려주세요~

인플ㄹ이션 디스플레이션? 까지는 알겠는데 스테그 인플레이션은 뭔지모르겠어요~

이게 오면 정말 힘들어진다는데.. 좀알아들려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을 말씀해주시는 것 같으세요!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네이션(경기침체) +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합성어인데요

      예를 들어서 설명드리면

      내 월급은 100만원인데 밥 한그릇에 3,000원 하던 것이, 4,500원이 되면서(인플레이션) 매일 밥 한 그릇을 사먹던 외식습관을 2일에 한번 밥 한그릇을 사먹게 되면서(경기침체) 물가도 상승면서, 소비자들의 소비도 감소하게 된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에서 고 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각국은 금리인상의 카드를 꺼내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플레이션은 기준금리 변경과 관련이 깊습니다.

      기준금리 변경은 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를 통해서도 물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기대인플레이션을 하락시킵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실제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게 됩니다.

      관련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110051618001

      경제학자들은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두 가지 주요 설명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첫째,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가 급격한 유가 상승과 같은 공급 쇼크를 직면할 때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와 같은 불리한 상황은 생산을 더 비싸게 하고 생산성을 떨어지게 하여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면서 동시에 가격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째, 정부가 너무 빨리 통화량을 늘리면서 산업에 피해를 주는 정책을 만들면 스태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경제성장을 늦추는 정책은 대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정책은 대개 경제성장을 둔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가 침체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중앙은행은 경기가 침체되면 금리인하를 하여 경기를 살려야 하나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금리인하를 하기 어렵고 오히려 물가를 잡기 위하여

      금리인상을 하여야 하나 경기침체를 우려하여 위 둘다 모두 어렵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는 최악의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스태그플레이션은 '스태그네이션'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에서 고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 보통은 경기상승→물가상승, 경기하락→물가안정이 정상적이지만 석유가격이 대폭 인상 등의 특수상황으로 생산비는 높아져 물가가 상승하나 물가상승으로 소비가 줄어들어 진퇴양난에 빠지는 것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하락등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이야기하며 여기에 경기침체가 더해진 현상으로 경기가 침체함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좋지 않는 경제상황을 얘기하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용어로, 경제활동이 침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되는 상태가 유지되는 저성장ㆍ고물가 상태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