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늠름한참밀드리146
늠름한참밀드리146

비가 그친 뒤 안개가 나타나는 이유는 뭔가요??

밤에 비가 그치고 동네 전체에 안개가 나타났어요. 도로뿐만 아니라 주택가 전체에 안개가 나타나서 을씨년스러웠어요. 밤이나 새벽에 비가 그친 뒤 안개가 나타나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온 뒤에 안개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공기중에 습도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안개는 공기중에 수증기가 많은 상태에서 갑자기 공기가 차가워 질때 물방울을 만들수 있는 응결핵을 만나서 만들어 집니다. 그래서 안개는 비온 뒤에 바람이 약하고 대기의 온도가 내려가는 밤에 주로 만들어 집니다. 반지름이 0.1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흡습성 물질을 응결핵 이라고 하며, 먼지나 대기오염 물질이 응결핵의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도시지역 에서는 안개가 매연과 섞여서 스모그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면 비는 공기를 식히고 공기는 수증기로 포화될 수 있습니다. 공기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하이면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결되어 안개를 형성합니다. 비가 그친 후 지표면과 주변 표면은 공기보다 차가워지고 공기는 이슬점 온도까지 냉각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공기가 냉각됨에 따라 이류 안개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기가 이미 수증기로 포화되어 있고 비가 그친 후 바람이 잠잠하면 공기가 이슬점 온도까지 냉각되어 안개가 형성됩니다. 바람이 불지 않는 조건으로 인해 계곡이나 움푹 패인 곳과 같은 저지대 지역에 수분이 침전되어 고르지 않은 안개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 안개는 일반적으로 새벽에 나타나는 이유는 일교차가 커지는 것입니다. 밤에는 땅이 식어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아침에는 해가 떴을 때면서 온도가 올라가면서 일교차가 생기게 됩니다. 이로 인해 땅의 온도가 식어나면서 생성되는 증기가 공기 중으로 올라서 안개가 나타나게 됩니다.

    • 지상에서 물이 증발하면 수증기가 되어 공기중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수증기가 팽창하면서 차가워지게 됩니다.

      공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수증기만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기온이 내려가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일부 수증기가 얼게 됩니다.

      따라서 비가 내린 뒤 수증기가 많아 안개가 잘 생성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