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멋부린가젤71
멋부린가젤7123.01.26
신기루는 어떤 원리로 보이는 건가요?

신기루 같은 경우 아무것도 없는 하늘 공간에 헛것이 보이게 되는 현상이잖아요?

근데 이런 신기루는 어떤 원리로 인하여 생기게 되는건가요?

  • 신기루는 아지랑이에서 공기의 온도차가 커지면서 신기루가 만들어지는데 신기루는 물체가 실제의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보이는 현상으로 공기의 기온차가 크고 불안정한 대기층에서 빛이 굴절하며 만들어진다고하네요.

    · 멀리 있는 배가 실제로 있는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보일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런 조건에서 실제보다 위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신기루 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의 밀도 차에 의한 빛의 굴절로 생기는 현상입니다.

    양에 의해 달궈진 지표면의 대기는 위쪽 대기에 비해 뜨거운 상태가 됩니다.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에 비해 밀도가 낮고 이러한 밀도 차이에 의해 빛이 굴절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면에 있는 공기로 빛이 들어올수록 그 빛은 위쪽으로 휘게 되어 반대편 물체가 지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고, 이를 신기루라고 합니다.


  • 신기루는 공기의 밀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에 비해 밀도가 낮습니다.

    밀도가 차이가 생기면 빛이 굴절하게 되고,

    지면에 있는 공기로 빛이 들어올수록 위쪽에서 더 휘게 됩니다.

    이때 반대편 물체가 지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현상이 신기루 입니다.

    따라서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신기루로 보곤 하는데,

    이것은 실제로 오아시스가 근처에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0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특별한 상태의 대기가 인간의 눈에 작용해서 허상을 보이게 하는 착시현상또는 수막현상입니다.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은 물체에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머물기 때문인데, 보통은 물체에 반사된 빛이 직선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그런데 공기 속을 통화하면서 빛의 속도는 떨어지기 마련인데, 같은 공기 속에서일지라도 특히 밀도가 클수록 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빛은 밀도가 큰 쪽으로 굴절하는데, 공기가 따뜻하면 밀도는 작아지고 공기가 차가우면 커지므로 공기의 밀도와 온도에 따라 빛의 굴절 정도는 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