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하얀버팔로
하얀버팔로22.11.06

신경정신과상담은 어떨때 가야하나요

나이
6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응
기저질환
없음

신경정신과에도 생각보다 엄청사람들이 많더군요 요즘시대에 정신과가는 사람들이 많나봐요 불안증 페쇄공포증 증상 .. 우울증...답답함.. 등등.. 이런것들은 나이가들면 다들 오는현상아닌가요? 심장이 두근거림 같은것들요? 이런현상일 경우 정신과를 가서 처방 및 상담을 받는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네 질문하신것과 같은 증상들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보는 내용들입니다.

    상담과 약물치료 모두 진행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정신과는 마음과 관련하여 육체적 이상이 없다면 언제든지 내원하여 진료 및 상담을 받으실 수 있는 곳입니다. 우울증은 현대인에게 매우 흔하므로 어떤 것이든 관련이 있다면 내원하시어 전문의의 상담 및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나이가 든다고 하여서 불안증, 폐쇄공포증, 우울증 등 증상이 자연스럽게 오지 않습니다. 해당 증상들이 있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및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심장이 두근거리는 증상은 우선 심장혈관내과에서 질병 여부를 파악해보아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신체적인 문제가 아닌 심리적인 문제가 있어서 아픈 경우라면 정신건강의학과에 가는 것이 필요하지요. 요즘과 같이 사는 것이 힘든 시기에는 정신건강의 문제가 있는 분들도 참 많습니다. 나이가 든다고 해서 불안이나 우울이 저절로 오는 것은 아니에요. 불면한 질병이고 치료가 필요한 겁니다. 가슴 두근거리는 증상이 신체적인 문제가 아니라면(일단 내과나 가정의학과에 가셔서 심장, 갑상선 등의 문제가 아닌지 부터 확인해야 합니다.), 결국 불안함에 의한 증상일 수 있으니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가 필요한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