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고금리상품안전한은행추천
요즘고금리예적금특판삼품이매일바뀌는데 은행의안전성을어떻게구분하나요?
BIS란정확학하게 무슨뜻인가요?
1금융은행과 2금융은행 차이점이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IS비율이란 각 은행의 건전성과 안정성에 대한 국제적 기준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BIS(국제결제은행행)이 정한 은행의 위험자산(부실채권) 대비 자기자본비율을 의미하며, 각 은행은 위험자산에 대하여 최소 8%이상의 자기자본을 유지하여야 안정성을 갖추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소기준 BIS비율 산출 공식 = (자기자본 / 위험가중자산) X 100% > 8%
여기서 위험가중자산이란 은행이 타인에게 빌려준 돈(여신이라고 하며, 대출보다 더 넓은 개념)을 위험성에 따라 계산한 것으로, 은행의 자산, 여기서 대부업체의 자산이란 빌려준 돈을 말하며 이러한 자산에 대해서 빌려간 주체의 신용도에 따라서 분류합니다. 상대방의 위험도가 혹은 대출에 대한 리스크가 높을수록 위험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게 됩니다.
저축은행들의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이슈는 2가지이며, 그 중에서도 올해 가장 큰 뇌관은 PF대출의 부실가능성입니다.
1.저소득 및 저신용자 신용대출
2.고위험 PF대출
위의 표는 현재 상반기 기준의 저축은행들의 PF대출현황이며, 요주의 여신비율과 연체율이 높은 저축은행의 경우는 피하시는 것을 좋습니다.
그리고 1금융권과 2금융권의 차이점은 간단하게 '은행법'의 적용기준에 해당되는 사업자인지 여부인데요. 은행법의 적용범위는 폭 넓다보니 2금융권들 '캐피탈', '카드사' '저축은행'들이 하는 모든 업무를 아우를 수 있으나 2금융권은 1금융권이 하는 업무들을 분산해서 적용되는 보통 '여신금융거래법'에 해당하는 사업자의 영역 범위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좋은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이 얼마나 안전한지 체크할 때 가징 기본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 BIS 비율입니다.
국제결제은행(BIS)에서는 bis비율이 8% 밑으로 떨어져서는 안 된다고 합니다. 즉, 우리가 거래하는 은행의 BIS비율이 6%, 5%로 떨어지면 어떤 불상사가 생길지 모르니 예금자들은 몸조심을 하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IS비율은 자기자본비율로 쉽게 생각하면 최대위험이 발생하였을 때 은행이 대처할 수 있는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현재 저축은행의 경우 최소 8%이상의 BIS비율을 유지해야 나라에서 지정한 비율을 충족하는 수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BIS비율이 높을수록 은행의 건전성이 높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추가적으로 SB톡톡앱(저축은행중앙회)에서 모든 저축은행의 예적금 금리 비교 및 가입이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