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말끔한관박쥐166
말끔한관박쥐166

만일 맨몸으로 하늘로 천천히 올라간다면 질식사를 먼저 하나요 아니면 얼어서 죽나요?

과학공부를 하다보니까 높은 곳으로 갈수록 산소가 희박하고 기온은 영하로 떨어지더라구요. 그러면 만일 천천히 하늘로 부상한다고 가정을 할 때 산소가 없어서 질식사할 가능성이 큰가요 아니면 얼어 죽을 가능성이 큰가요? 8000미터 이상의 고도로 올라가게 된다면 공기 중의 산소 함량이 너무 낮아 생존이 거의 불가능 하다는데 이때는 기온도 영하권이라서 둘 중에 무슨 원인으로 사망을 할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견한멧새88
      대견한멧새88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맨몸으로 천천히 하늘로 올라갈 경우, 공기가 밀도가 적어져서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체내 기체들도 팽창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체내의 산소가 부족하여 질식사가 먼저 발생합니다.

      얼어 죽는 것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피부로 향해 응축되어 서리가 된 후, 서리가 많아지면서 온도가 더욱 낮아져서 결국 동상이 생긴 후 사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은 대기 중 압력이 매우 낮아지는 고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고도에서는 질식사가 먼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 조건으로 아무 장치없이 하늘로 천천히 올라간다면 질식사부터 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에베레스트산 정도의 높이만 가도 산소가 매우 희박해 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