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나문산라
나문산라23.06.04

구름은 왜 보통 하얀색으로 보이나요?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왜 하얀색으로 보이는가요? 비가올때는 흑구름이 만들어 지기도 하지만 보통은 흰색이잖아요. 왜 그런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보통 하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구름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으로, 이들이 빛을 산란시켜서 빛이 모든 방향으로 흩어지기 때문에 우리 눈에 하얗게 보입니다.

    빛은 구름 안을 통과할 때, 구름 안의 입자들과 부딪혀 산란됩니다. 이때, 빨간, 주황색, 노란색 등의 긴 파장의 빛은 더 많이 산란되어 구름 안에 흡수되고, 파란색, 보라색 등의 짧은 파장의 빛은 덜 산란되어 우리 눈에 도달합니다. 따라서, 구름 안에서 짧은 파장의 빛이 우리 눈에 더 많이 도달하게 되므로, 우리 눈에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때로는 구름이 회색이나 검은색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구름 안에 먼지, 연기, 불순물 등이 섞여 있어서 빛이 더 많이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오기전에 형성되는 비구름은 구름층이 충분히 두껍고 내부 수증기 밀도가 높아 빛이 투과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구름의 짙은 그림자를보며 흑색구름이라고 하게됩니다.

    반면, 일반적인 구름들은 두껍지않아 태양빛이 투과하기도하고, 지면에 반사된 빛이 다시 구름에 맞아 산란되면 물의 수증기 색인 흰색이 나오게됩니다.

    물을 끓이면 흰색증기로보이는것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