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우리나라는 자동차관세 25% 일본은 15%로 시행된다던데 도요타는 호재인가요?

우리나라 현대, 기아차는 25% 관세를 맞고

일본 기업차들 도요타 같은 기업들은

15%의 관세로 진행된다던데

관세로인해 가격역전이 나타나더라구요

일단 일본차의 경우 15%의 관세를 맞지만

경쟁기업인 우리나라 기업들은 25%를 맞게 되니

점유율 부분에서 관세가 악재가 아닌 호재로 나타날 수도 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영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도요타에게는 한국보다 관세 우위가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기존에 우리나라는 도요타에 비해 2.5% 관세가 우위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우리는 25%, 일본은 15%가 되면서 일본 자동차가 가격 또는 마진 우위에 있게 됬습니다.

    관세는 결국 판매하는 자동차에 반영되서 자동차 가격이 올라갈 가능성을 높이지만 우리나라는 도요타보다 가격이 낮아야 경쟁력을 갖기때문에 가격을 올리기가 어렵습니다. 그렇게되면 마진이 줄어들기때문에 사업성이 떨어집니다.

    자동차 부문만 놓고보면 도요타는 경쟁사인 현대자동차보다 유리한 입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상황이 맞다면 일본차, 특히 도요타 입장에선 상대적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같은 시장에서 한국차가 25% 관세를 내고 일본차는 15%만 내면 소비자 가격에서 차이가 나고, 이는 점유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자동차는 가격 민감도가 높은 품목이라 세율 차이 10%만으로도 경쟁력이 달라집니다. 다만 환율, 브랜드 이미지, 현지 생산 비중 같은 변수도 커서 단순히 관세 차이만으로 시장 판도가 완전히 바뀌진 않습니다. 그래도 단기적으로는 일본 업체가 가격 경쟁에서 유리한 국면을 잡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