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에서 영구결번이 되는 법을 알려주세요
ㅇ영구결번이 되려면 무조건 원 클럽 맨이여야하나요?
중간에 1년이라도 팀을 옮기면 아무리 잘해도 영구결번은 힘드나요?
알려주세요!
영구결번이 되는 조건에 원클럽맨이어야 한다는 조건은 절대로 없습니다.
중간에 다른 팀으로 갔다고 하더라도 또 다른 팀에서 데뷔한 후에 입단을 한 선수라 할지라도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원클럽맨일 경우는 어느 정도의 가산은 되겠지요.
또 반드시 성적만으로 영구결번에 지정되는 것은 아니구요. 추모의 의미로 영구결번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KBO리그에서 총 17명의 선수들이 영구결번이 됐구요.
그 중 14명이 외국리그 구단 경력을 제외하면 원클럽맨입니다.
원클럽이 아닌 3명의 선수명단입니다.
삼성 10번 양준혁 : 삼성-해태-LG-삼성
롯데 11번 최동원 : 롯데-삼성
SSG 22번 박경완 : 쌍방울-현대-SK
야구에서 영구 결번이 되기 위한 조건은 팀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습니다.
팀에 대한 기여 : 선수는 팀에 대한 뛰어난 기여와 성과를 보여야 합니다. 이는 리그 에서의 성적, 팀의 우승 기여, 팬들 에게의 영향등을 포함합니다.
원 클럽 맨 : 많은 팀에서 영구 결번을 부여하는 선수는 일반적으로 해당 팀에서 오랜 기간 활동한 원 클럽 맨 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반드시 원 클럽 맨이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팀과의 관계 : 팀과 선수 간의 관계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선수의 팀에 대한 충성도와 팬과의 관계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팀의 정책 : 각 팀의 영구 결번 정책이 다르므로, 팀이 정한 특정 기준이나 규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간에 다른 팀으로 이적한 경우라도 그 선수의 기여도와 성과에 따라 영구 결번이 될 가능성은 있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는 팀의 내부 정책과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영구 결번의 역사는 메이저리그 야구(MLB)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최초의 영구 결번은 뉴욕 양키스의 루 게릭(Lou Gehrig)이 받았습니다. 그는 1939년 7월 4일 자신의 건강 문제로 인해 은퇴를 선언하며, 그의 등번호 4번은 뉴욕 양키스에서 최초로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는 그가 야구와 양키스에 미친 엄청난 영향력과 공헌을 인정한 조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성들여서 답변드는 사람입니다.
영구결번이 되기 위해서 꼭 원클럽맨일 필요는 없어요. 이건 제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영구결번은 그 선수가 팀에 얼마나 큰 의미와 영향을 남겼는지가 더 중요한 것 같아요.
영구결번이 되기 위한 조건들을 보면:
오랜 기간 동안 뛰어난 성적을 기록
- 팀의 우승이나 중요한 순간에 큰 기여
- 팬들에게 받은 사랑과 존경
- 야구 외적으로도 모범적인 모습
예를 들어, 최동원 선수는 삼성으로 트레이드된 적이 있지만, 롯데의 첫 우승을 이끈 공로를 인정받아 11번이 영구결번이 되었어요. 결국 한 팀에서만 뛰었느냐보다는 그 선수가 팀에 남긴 업적과 의미가 더 중요하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영구결번은 주로 팀에서 오랜 기간 동안 뛰어난 성과를 보인 선수들에게 주어지는 영예입니다. 하지만 반드시 '원 클럽 맨'이 되어야만 영구결번이 되는 것은 아니에요. 다른 팀으로 잠시 옮겼던 선수라도, 특정 팀에 큰 공헌을 하고 특별한 의미가 있다면 그 팀에서 영구결번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흔하지 않지만 예외는 존재하죠. 팀마다 영구결번을 지정하는 기준이 다르므로, 각 구단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습니다. 특정 팀에서 큰 업적이나 특별한 유산을 남긴다면 팀의 레전드로서 영구결번의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