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차이점에 대해 궁금해서 문의드려요

기능이론의 이론적특징은 체제유지 지향적, 현상유지 (보수적)이고 갈등이론의 이론적특징은 체제비판을 통한 변화 (진보적)라고 하는데요. 그럼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판점은 무엇인지 아시는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도도한듀공33
    도도한듀공33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은 사회학의 대표적인 이론 중 두 가지입니다.


    - 기능이론(Functionalism)

    기능이론은 사회가 기능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이론의 핵심 개념은 사회 시스템이 기능하는 방식으로, 사회 구성원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이러한 상호작용에서 생기는 문제들은 사회 시스템 내부에서 해결됩니다. 따라서, 사회의 안정과 조화, 그리고 사회 발전에 중점을 두고 분석합니다.


    - 갈등이론(Conflict theory)

    갈등이론은 사회의 갈등과 이를 중심으로 한 변화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이론의 핵심 개념은 사회 구성원들 간의 이해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으로, 이러한 갈등들이 사회 구조와 권력구조의 형성과 변화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고 봅니다.


    이 두 이론의 가장 큰 차이점은 분석 대상에서 비롯됩니다. 기능이론은 사회 시스템 자체의 기능을 분석하고, 갈등이론은 사회 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중심으로 한 변화를 분석합니다.


    갈등이론은 기능이론과는 달리, 사회의 경제적 균등성과 사회적 공정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기능이론은 사회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는 가정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갈등이론은 사회 구성원들 간의 이해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사회 구조와 권력구조의 형성과 변화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고 봅니다.


    비판점으로는 기능이론은 사회 구성원들의 이해관계와 권력구조, 인종, 성별, 계급 등의 차별을 고려하지 않고, 기능과 안정성만을 중시한다는 점과, 갈등이론은 사회 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중심으로 한 분석이기 때문에, 어떤 갈등이 중요한지에 대한 판단과 정치적 입장에 따라 분석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