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왜 조선에서는 사도를 사또라고 불렀을까요?

사또를 한문으로 적으면 부릴 사에 길 도자를 써서 사도라고 해야 하는데 부를 때에는 사또라고 했다고 합니다. 저는 어렸을 때부터 그냥 사또인 줄로 알았구요.(원님의 어원은 또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어요) 왜 사도를 사또라고 부르게 되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본래 "사또"는 사도(使道)에 기원합니다. 이는 왕의 명령을 받아 지방을 다스리는 관리를 말합니다. 문자 그대로 심부름꾼을 의미합니다. 사도가 자연스럽게 된소리가 되면서 '사또'로 발음된 것입니다. 그리고 "원님"은 원(員)과 존칭어 님의 결합어로 "원"은 양반 관료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그런데, 지방에서 양반관료로는 군수나 현감을 지칭할 수 있으니 그들의 권위를 존칭하며 님의 붙여 부른 것이 반영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