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준일이 어떠한 날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지준일에는 채권과 같은 여러 증권의 결제가 안된다고 하더군요. 아마 지급준비율이나 준비금과 관련있을 것 같은데, 지준일의 의미와 그 날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준일이라고 하는 것은 은행이 국가에서 정해둔 지급준비율에 대한 예치금액을 일치시켜야 하는 날을 의미해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지준일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준일이란 결국 매달 둘째 주 수요일로
채권 매매의 경우 지준일에는 한국은행망을 통한 지준 결제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준일(지급준비일)은 금융기관들이 중앙은행에 지급준비금을 예치해야 하는 날을 말합니다.
지급준비금제도는 통화정책 수단의 하나로, 중앙은행이 금융기관들에게 자신의 예금잔액 중 일정 비율을 중앙은행에 현금성 자산으로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통화량 조절
- 지급준비율을 조정하여 금융기관의 여신능력을 제한하고 통화량을 관리
2. 금융시스템 안정성 확보
- 금융기관의 과도한 여신활동을 제한하여 유동성위기에 대비
지준일이 가지는 의미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월 금융기관들이 지급준비금을 실제로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날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지준일에는 금융기관들이 지급준비금 확보를 위해 자금을 조달하느라 채권이나 기타 증권 결제를 자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지준일에는 금융시장에서의 거래가 다소 위축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준일이라 함은 의무예치금을 일치시키는 마감날이지요.쉽게 말하면 모자란 금액을 메꿔노라는 것이지요. 매달 7일과 22일이 지준마감일 입니다.
그 날은 특별한 거래 이외에는 한국은행과 지준거래가 불가한 날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준일은 증권 거래에서 정산을 위해 미리 정해진 날짜를 말합니다. 이 날짜에는 채권이나 다른 증권의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대신 이 날짜에는 정산을 위한 절차가 진행되며, 이를 통해 거래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준일은 지급준비금 마감일을 의미합니다.
지준마감이란 금융기관이 매월 예금잔액에 대한 필요지준을 다음달 둘째주 목요일부터 그 다음달 둘째주 수요일까지 적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