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덕망있는카구280
덕망있는카구280

제산제를 먹으면 진짜로 성기능이 감퇴 되나요?

어디서 보니까 제산제를 먹으면 성기능이 감퇴된다고 하던데, 맞는 이야기인가요? 또 감기약을 먹어도 성기능이 감퇴되나요? 중간 중간 감기약을 한 이년정도 먹었더니,소변을 보아도 시원치 않고, 성기능도 약해진것 같아요. 또 회복은 안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제산제를 먹는다고 해서 성기능이 감퇴되지는 않습니다.

      감기약을 정확히 어떤것을 얼만큼 드셨는지는 모르겠지만 감기약중 일부 약은 전립선비대증환자에서 소변보는것을 조금 어렵게 할 수는있습니다. 성기능과는 관련이 없으며 감기약이라 하시면 아마 증상이 있을때만 잠깐잠깐 드셨을 텐데 그런경우 감기약때문이라고 하기는 어려울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세약사입니다.

      제산제(Al제제 등)와 감기약(항생제, 진통제 등)의 경우 성기능 감퇴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제산제를 복용하면 성기능이 감퇴하는지 궁금하시군요.

      전혀 과학적으로 검증된 내용이 아닙니다.

      또한 감기약 또한 성기능을 감퇴시키지 않습니다.

      신체 나이가 들수록 성기능이 감퇴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제산제는 위산을 중화하여 속쓰림 및 위벽을 보호하는 약으로 성기능감퇴와는 크게 연관성이 있지는 않으며 현재 전립선의 문제로 배뇨장애와 성기능 문제의 가능성이 있기에 반드시 비뇨기과를 방문하여 진료를 보시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감기약과 제산제의 경우 성기능 관련 부작용은 크게 보고된 바 없습니다.

      다만 감기약이나 제산제도 약이 여러가지이기 때문에 드시던 약의 이름을 말씀해주시면 정확한 답변이 가능합니다.

      소변을 보아도 시원하지 않은 경우 전립선비대증의 가능성이 있기에 비뇨기과 방문해서 진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1. 제산제보다는 위장운동촉진제로 사용하는 레보설피리드 라는 성분이 성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2. 다른 제산제나 감기약은 영향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인배 약사입니다.

      제산제를 먹는다고 하여 성기능이 감퇴된다고 하는 것은 과학적인 근거가 많이 부족한 말로 보입니다. 어디서 해당 정보를 얻으신지는 모르겠으나 정보의 확인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제산제, 감기약을 복용한다고 해서 성기능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나이가 많으시다면 노화가 가장 큰 원인일 듯 합니다. 약에 의한 경우는 약물을 끊으면 성기능이 다시 돌아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1 어디서 보니까 제산제를 먹으면 성기능이 감퇴된다고 하던데, 맞는 이야기인가요?

      - 예 그럴 수 있어요

      ---------------------------------------------------

      내분비계 : 매우 드물게 여성형유방 및 젖분비과다와 같은 유방관련 증상 및 상태, 가역적인 발기부전 및 성욕감퇴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이 약과의 인과관계는 확립되지 않았다.

      2 감기약을 먹어도 성기능이 감퇴되나요? 중간 중간 감기약을 한 이년정도 먹었더니,소변을 보아도 시원치 않고, 성기능도 약해진것 같아요.

      - 배뇨곤란은 올 수 있어요

      =================================

      다음 사람은 복용하기 전에 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1) 본인, 양친 또는 형제 등이 두드러기, 접촉성피부염, 기관지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편두통, 음식물 알레르기 등을 일으키기 쉬운 체질을 갖고 있는 사람
      2) 지금까지 약이나 달걀에 의해 알레르기 증상(예 : 발열, 발진, 관절통, 천식, 가려움증 등)을 일으킨 적이 있는 사람
      3) 수두 또는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어 있거나 또는 의심되는 영유아 및 14세 이하의 어린이
      4) 간장, 신장, 갑상선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이 있는 사람, 몸이 약한 사람 또는 고열이 있는 사람
      5) 심장 또는 신장에 장애가 있는 환자 또는 고령자
      6) 녹내장(예 : 눈의 통증, 눈이 침침함 등)이 있는 사람, 배뇨곤란이 있는 사람
      7)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수유부
      8)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9) 부종이 있는 환자

      3 또 회복은 안되나요?

      - 가역적이라 회복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