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총명한퓨마17
총명한퓨마1723.03.23

상대습도에서 절대습도 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이번에 프로젝트 하는데.. 습도 관련 비교를 해야하는데..
환경이 다르니 비교단위를 절대 습도로 맞추려고 합니다.

아는것..
상대습도 %
온도 'C
압력 bar

이렇게 알고 있을때 절대습도(g/m3)은 어떻게 구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절대습도(g/m3)는 상대습도, 온도, 압력을 고려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상대습도를 절대습도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수 A, B, C, D를 구합니다.

    - A = 6.116441

    - B = 17.502

    - C = 240.97

    - D = 273.15

    2. 상대습도(RH)를 백분율에서 비율로 변환합니다.

    - RH = 상대습도 / 100

    3. 총압력(P)을 구합니다. (단위: Pa)

    - P = 압력 x 100000

    4. 총압력(P)과 온도(T)를 이용하여 포화수증기압(es)을 구합니다. (단위: Pa)

    - es = A * exp((B * T) / (C + T))

    5. 상대습도(RH)와 포화수증기압(es)을 이용하여 혼합수증기압(e)을 구합니다. (단위: Pa)

    - e = RH * es

    6. 혼합수증기압(e)과 총압력(P)를 이용하여 절대습도(w)를 구합니다. (단위: g/m3)

    - w = (0.62198 * e) / (P - e) * 1000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상대습도, 온도, 압력을 이용하여 절대습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절대습도는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단위는 g/m3이나 kg/m3으로 표현됩니다. 상대습도, 온도, 압력을 알고 있을 때 절대습도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절대습도(g/m3) = (분압 / 기압) × 622 × (수증기 분자량 / 대기 분자량)

    여기서,

    • 분압: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압력 (Pa 단위)

    • 기압: 대기압 (Pa 단위)

    • 622: 수증기의 분자량 (18 g/mol)과 대기의 평균 분자량 (28.97 g/mol)의 비

    • 수증기 분자량: 18 g/mol

    • 대기 분자량: 28.97 g/mol

    온도는 절대온도(K)로 변환하여 사용해야 하며, 대기압은 보통 해발고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측정 지점에서의 대기압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값들을 알고 있다면 위의 공식을 이용하여 절대습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습도는 현재온도에서 포화수증기량에대한 현재수증기량을 기준으로 정의되어있습니다.

    현재수증기량

    상대습도 = --------------------------- x 100 (%)

    현재온도에서 포화수증기량


    하지만 절대습도는 공기중에 현존하는 수증기의 양입니다.

    즉 1m3 공간속에 들어있는 수증기의 질량(g)인것이죠~


  •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

    절대습도(g/m3)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절대습도 = (0.622 x 상대습도 x 포화수증기압) / (압력 - 0.378 x 상대습도 x 포화수증기압)

    여기서 포화수증기압은 해당 온도에서 포화상태일 때의 수증기압을 나타냅니다. 포화수증기압은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수증기압 계산식 중 Clausius-Clapeyron 방정식을 사용합니다.

    압력의 단위는 bar이므로, 계산 결과 역시 g/m3 단위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절대습도(g/m3)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상대습도(%)와 온도(℃)를 이용하여 포화수증기압을 구합니다.

      • 포화수증기압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해당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값을 찾아야 합니다. 이 값은 수증기압표 등을 참고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2. 포화수증기압과 압력(bar)를 이용하여 혼합비를 구합니다.

      • 혼합비란 공기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의 비율을 말합니다. 수증기의 양이 많을수록 상대습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3. 혼합비와 공기의 밀도를 이용하여 절대습도(g/m3)를 구합니다.

      • 공기의 밀도는 온도, 압력 등 환경적인 조건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해당 환경에서의 공기 밀도를 찾아야 합니다.

    아래는 절대습도를 계산하는 예시입니다

    온도: 25℃ 상대습도: 60% 압력: 1 bar

    1. 해당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을 구합니다.

      • 25℃에서의 포화수증기압은 3.17kPa입니다.

    2. 포화수증기압과 압력을 이용하여 혼합비를 구합니다.

      • 1 bar의 압력에서의 수증기의 혼합비는 0.023입니다.

    3. 혼합비와 공기의 밀도를 이용하여 절대습도를 구합니다.

      • 공기의 밀도는 1.185g/m3입니다.

      • 따라서, 해당 조건에서의 절대습도는 0.028g/m3입니다.

    참고로, 절대습도는 환경 조건이 변하면 값이 변하기 때문에, 비교할 때에는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하여 비교해야 합니다.


  • 상대습도와 온도 정보가 주어졌을 때, 절대습도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먼저, 상대습도와 온도를 이용하여 포화수증기압을 계산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온도의 포화수증기압을 나타내는 식이 필요합니다. 이 식은 과학적인 측정에 의해 구해진 값이며, 다음과 같은 근사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포화수증기압 = 6.11 x 10^((7.5 x T)/(237.3 + T))

      여기서 T는 온도를 나타냅니다.

    2. 다음으로, 상대습도를 백분율에서 비율로 변환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상대습도를 100으로 나눈 값을 이용합니다.

      상대습도(비율) = 상대습도(백분율) / 100

    3. 절대습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절대습도 = 상대습도(비율) x 포화수증기압 / (461.5 x (T+273.15))

      여기서 461.5는 대기의 비체적상수이며, T는 섭씨 온도를 나타냅니다.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상대습도와 온도 정보를 가지고 절대습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3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상대습도(Relative Humidity, RH)는 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의 압력과 해당 공기의 포화수증기압과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반면에 절대습도(Absolute Humidity, AH)는 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의 실제 양을 의미합니다. 상대습도와 절대습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AH = (RH/100) x (6.112 x exp[(17.67 x T)/(T + 243.5)]/ (273.15 + T - ((6.112 x exp[(17.67 x T)/(T + 243.5)]) / (273.15 + T))))

    여기서 T는 온도를 나타냅니다. 위의 식에서, exp는 지수 함수를 나타내며, 상수 6.112, 17.67, 243.5, 273.15은 각각 포화수증기압과 수증기 포화 곡선과 관련된 상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