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의 2단계, 3단계에 대하여 설명부탁드립니다
자율주행차를 하다가 미국에서 사고도 많이 나는 경우도 들었는데요 2단계, 3단계 기술의 문제점과 한계에 대하여 설명 부탁드릴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2단계 기술의 문제점 및 한계 : 2단계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으로, 운전자는 항상 운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문제는 시스템을 과신하여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소홀히 하거나 다른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시스템이 돌발 상황에 대응하지 못할때 운전자의 즉각적인 개입이 어렵다는 것이 주요 한계이자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시스템은 보조일뿐, 최종 책임은 운전자에게 있습니다.
3단계 기술의 문제점 및 한계 : 3단계는 특정 조건 하에서 운전 주체가 시스템으로 전환되지만, 시스템이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면 운전자에게 개입을 요청합니다. 이때 운전자가 운전 권한을 인수인계받는데까지 걸리는 전환시간이 치명적인 문제입니다. 돌발 상황에서 운전자가 충분한 시간내에 상황을 인지하고 운전을 재개하기 어려울수있으며, 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커집니다. 책임 소재도 불분명해지는 경우가 생길수있습니다. 이는 기술의 발전과 법규, 사회적 합의가 함께 가야하는이유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전문가 박시훈입니다🤗 정성껏 답변드리겠습니다!!
자율주행 2단계(L2)
설명: 차량이 특정 조건에서 운전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필요 시 개입해야 합니다. 차량은 조향, 가속, 감속 등을 제어하지만 운전자가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자율주행 3단계(L3)
설명: 차량이 특정 조건에서 스스로 주행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으며, 시스템이 요청할 때만 운전자가 개입합니다. 운전자는 일반적으로 운전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 답변 마칠게요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기계공학 전문의 박성수 전문가입니다.
레벨 2 자율주행차의 경우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지원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교차로 탐색, 좌회전,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응 등 복잡한 운전 시나리오를 처리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여전히 운전자의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레벨 3 자율주행차의 경우 레벨2에 비해서 자율적으로 더 많은 주행 업무를 처리하고 복잡한 상황들을 처리할 수 있지만 여전히 그 한계가 있습니다. 데이터가 많이 쌓여있지 않은 건설 구역이나 악천후 또는 도로 폐쇄와 같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스템 성능 저하가 될 수 있어 안전에 문제가 됩니다.
이상 답변이 도움이 됐기를 바라며 답변을 마칩니다.
2단계 자율주행 : 부분 자율주행
이 단계에서 운전자는 주행 중에 항상 운전대를 잡고 있어야 합니다.
3단계 자율주행: 조건부 자율주행
이 단계에서는 운전자는 일부 상황에서는 운전대를 놓고 있을 수 있습니다.
3단계에서는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한 상황도 있기 때문에 완전한 자율주행은
아직 달성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