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23.08.03

달의 앞면보다 달의 뒷면에 크레이터가 많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리가 지구에서 보는 달의 앞면보다 지구에서 볼수 없는 달의 뒷면에 크레이터가 더 많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왜 달의 뒷면에 크레이터가 더 많은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자전과 공전주기가 같아 항상같은 면만 볼수있습니다 지구에서 볼수없는 달의 뒷면은 항상 우주쪽을 향하고 있어 앞면에 비해 유성이나 소행성의 충돌이 자주 일어납니다 그래서 뒷면에는 크레이터가 많은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정확한 이유는 아직 모른다'입니다.

    전세계 과학자들과 천문학자들이 많은 가설을 내놓고 있지만 실제로 모두 가설이나 가정을 토대로 말하고 있죠

    예로, 미국에서는 NASA에서 쏘아올린 위성으로 달의 뒷면과 앞면의 온도차를 얘기했는데

    이 이유는 달의 비대칭적 온도가 방사성 동위원소로 인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달에서의 용암분출이 되면서부터

    앞면과 뒷면에 비대칭적으로 용암을 분출시킨것이 아닌가 얘기하고 있습니다.

    사실, 달의 크레타는 앞면에는 아주 큰것이 듬성 듬성있는가하면, 뒷면은 상대적은 작은 것들이 아주 많이 깔려있죠

    또다른 연구진은 우주의 많은 소행성들과의 충돌로 인해 표면이 함몰한 것이다..라고

    주장 가설을 하는 경우도 있답니다.

    이처럼..달의 앞면과 뒷면의 크레터 빈도와 크기 등이 차이가 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많은 주장,가설들이 있지만

    과학적인 명확한 근거를 토대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서 앞으로도 그에 대한 연구는 더욱 진전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아 지구에서는 달의 한면만을 바라보게 됩니다. 달의 한면인 앞면은 지구만을 바라보고 다른 면인 뒷면은 지구와 반대방향인 우주를 바라보게 됩니다.

    달의 앞면보다 뒷면에 크레이터가 많은 이유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소행성이나 돌멩이가 달의 뒷면에 부딪힐 확률이 크기 때문이죠. 달에 앞면의 경우 지구를 통과하여 남은 잔여물이 달의 앞면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달의 뒷면의 경우 우주에서 곧장 날아와 부딪힐 수 있죠. 그래서 뒷면에 크레이터가 더 많은 이유입니다.



  • 달의 앞면과 뒷면에 크레이터 분포의 차이는 두 가지 주요 요인으로 설명됩니다:

    1. 락킹 현상: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동일한 면을 지구에 향하도록 락킹되어 있습니다. 이 락킹 현상으로 인해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거의 같아졌고, 결과적으로 달의 한 면이 항상 지구 쪽을 향하게 됩니다. 이러한 면을 "달의 앞면"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반대쪽을 "달의 뒷면"이라고 합니다.

    2. 재투석: 달의 뒷면은 달의 앞면보다 더 많은 크레이터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천체들의 공간에서 행성들이나 위성들에게 충돌체가 떨어지는 현상인 '재투석' 때문입니다. 재투석은 지구의 대기와 같은 방어 기능이 없는 천체들에 흔히 나타납니다.

    지구의 대기는 입자들이 충돌체들을 감속시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잃도록 만듭니다. 하지만 달은 대기가 없으며, 따라서 달에 떨어지는 작은 천체들도 크레이터를 형성하기 위해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달의 앞면은 지구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달의 뒷면보다 지구에서 온 충돌체들이 약간 더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달의 앞면과 뒷면에 크레이터 분포의 차이는 락킹 현상으로 인한 한쪽 면이 지구에서 온 충돌체에 노출되는 정도와 재투석에 의한 충돌체들의 빈도 차이로 설명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