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들어서 배터리 화제가 늘어난 이유가 궁금합니다
리튬이온배터리 관련 화재 뉴스가 참 많이 나오고 있는데
해당 배터리가 어떤 문제가 있어서 이렇게 화재가 자주 발생하는걸까요?
저희가 실생활에서 사용중인 배터리도 어떤 주의를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리튬이온베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효울적이지만 충전 방전 시 내부 열이 과도하게 쌓이거나 손상 시 내부 단락이 발생하면 열폭주로 이어져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차 모빌리티 내용량 ESS 사용이 늘면서 배터리 수량이 급격히 증가해 사고도 함께 늘어난 것입니다 일상에서는 충격 과충전 고온 환경을 피하고 정품 충전기 사용과 손상된 배터리의 즉시 교체가 가장 중요한 예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은 배터리 자체 결함, 과충전 및 과방전, 외부 충격으로 인한 내부 손상인데요.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배터리 내부 단락과 함께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여 화재인데 점차 보완이 될거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배터리의 대부분의 화재는 분리막 손상 아니면 과열에 의한 화재입니다. 이번 데이터센터는 과열에 의한 화재이고 이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있었으나 초기 확인이 늦고 화재 진압도 늦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배터리의 경우 외부 손상을 막아서 분리막 손상을 줄이고 과열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슬기 전문가입니다.
배터리 내부의 양극, 음극을 분리하는 분리막을 충격 또는 과열로 파손시키는 경우,
리튬 이온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많은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참조사이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2041132?sid=102
(KBS - [팩트체크K] 리튬배터리 화재 잇따라…위험 실태와 예방책은?)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리튬이온배터리의 화재가 늘어나고 있는데 근본적인 이유는 열폭주를 들 수 있습니다. 배터리 셀 내부에서 부터 열이 발생하게 되고 제어가 불가능한 수준까지 올라가 폭발현상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열폭주의 원인은 다양한데 첫째, 물리적인 충격으로 인해 양극과 음극이 접촉하여 내부 단락이 되게 되고 이는 발열로 이어지게 됩니다. 두번째는 내부 냉각 시스템의 고장으로 온도 상승이 임계점을 넘어가게 되면 열폭주로 이어집니다. 세번째로 과충전 or 과방전을 하게되면 배터리 내부가 손상되어 단락이 되고 마찬가지로 열폭주가 되어, 배터리 화재로 이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배터리의 화재가 큰 이유는 장기간 배터리 연결로 인한 과충전이나 외부의 충격, 고온 등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가을날씨라고 한다면 외부의 충격이나 오랜시간 충전기를 꽂아놓는 과충전의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리튬이온의 불안정성 때문일 가능성도 높고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성능이 좋지만 내부에 가연성 전해액과 금소 리튬이 있어 과충전 및 과방전 또는 물리적 충격 등으로 인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방지하기 위해서는 과충전을 피하고 제조사가 권장하는 충전 상태 내에서 충전하도록 하고 있으며 배터리에 충격을 가하거나 꺽임 및 찍힘 없는 물리적 충격을 방지하고 고온 환경에 배터리 보관 및 충전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