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9.02

조선이 강화도 조약 이후 강대국들과 어떤 불평등 조약들을 맺었는지 궁금합니다.

조선이 일본에게 강제로 개항되며 강화도 조약을 체결했잖아요.

그 이후 강대국들이 조선에 들어오면서 많은 불평등 조약들이 있었을 것 같은데

어떤 불평등 조약들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 장기칠조약이라고도 불리며, 1882년에 조선(대한제국)과 미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입니다. 여기에서 이 조약이 불평등한 것으로 간주되는 이유는 일부 조항들이 조선의 국가 주권과 자주권을 침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도 조영통상조약, 조러통상조약이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조선은 강화도 조약을 계기로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과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러한 조약들은 조선의 자주권을 침해하고, 서양 열강의 침략을 도와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강화도 조약 이후 조선이 맺은 불평등 조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본과의 조약

    1876년 9월 26일: 강화도 조약

    1882년 8월 29일: 제물포 조약

    1883년 10월 30일: 한일수호조약

    1885년 11월 18일: 조일수호조약

    미국과의 조약

    1882년 5월 22일: 조미수호조약

    영국과의 조약

    1883년 3월 28일: 조영수호조약

    프랑스와의 조약

    1886년 1월 26일: 조불수호조약

    러시아와의 조약

    1884년 12월 25일: 한러수호조약

    이러한 조약들에는 다음과 같은 불평등한 조항들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관세 자주권의 상실

    조선은 각국과 체결한 조약에 따라 낮은 관세율을 부과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는 조선의 경제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치외법권

    외국인은 조선의 법률을 적용받지 않고, 자국의 법률에 따라 보호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는 조선의 주권을 침해하는 행위였습니다.

    조계설정

    각국은 조선의 주요 도시에 조계를 설정하여, 자신들의 거주지와 상업 활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조선의 영토를 침해하는 행위였습니다.

    최혜국 조항

    한 조약에 따라 특혜를 받은 국가는 다른 국가와의 조약 체결 시에도 동일한 특혜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는 조선의 협상력을 약화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불평등 조약들은 조선을 열강의 침략에 무방비 상태로 만들었습니다. 결국, 조선은 1910년 일본에 강제로 병합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