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너구리는 포유류인데 왜 알을 낳나요?
인터넷을 보다 오리너구리라는 생물을 봤습니다.
오리너구리는 포유루라서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데 알을 낳는다고 하더라고요
왜 오리너구리는 알을 낳나요?
오리너구리가 알을 낳는 이유는 이 생물이 진화 과정에서 초기 포유류의 특성을 유지했기 때문입니다. 포유류는 원래 파충류에서 진화했으며, 오리너구리는 그 과정에서 알을 낳는 특성을 잃지 않은 단공류에 속합니다. 단공류는 포유류 중에서도 가장 원시적인 그룹으로,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 같은 동물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이들은 알을 낳지만 새끼가 부화한 후에는 다른 포유류처럼 젖을 먹이며 키웁니다.
안녕하세요.
호주 오리너구리는 알을 낳고 피부에서 스며 나오는 젖으로 새끼를 키우는데요, 이빨 없이 오리주둥이 같은 부리를 갖고 있으며 뒷발의 발톱에는 개도 죽일 수 있는 독을 갖고 있으며, 또한 성염색체는 10개에 달합니다. 비버를 닮았지만 포유류라고 하기에는 특이한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어서 지구에서 가장 이상한 포유류로 꼽히며 과학자들을 당황스럽게 해왔는데요, 하지만 오리너구리의 이런 기괴한 특성을 둘러싼 비밀이 게놈 지도 완성을 통해 부분적으로 풀리게 되었습니다. 덴마크 코펜하겐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생물학과 장궈지에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첨단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기술을 활용해 오리너구리의 게놈 지도를 완성하고 이를 토대로 오리너구리가 독특한 형태를 보이게 된 배경을 분석한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를 통해 발표했는데요, 오리너구리는 현대 포유류가 출현하기 수백만년 전부터 존재했던 '단공류'(montremes)라는 고대 포유류에 속해있습니다. 연구팀은 "오리너구리가 포유류인 것은 맞지만 유전자상으로는 포유류와 조류, 파충류가 섞여 있다"면서 "조상의 특성 중 많은 부분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이런 점이 현재의 서식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데 기여했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우선 포유류이면서도 새끼를 알로 낳아 가장 기괴하게 여겨졌던 난생은 난황(노른자위) 제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텔로제닌 유전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비텔로제닌 유전자는 모두 3개로 인간은 진화 과정에서 이를 모두 잃어버렸습니다. 닭의 경우 3개를 모두 유지하고 있는데, 오리너구리는 두 개를 약 1억3천만년 전에 잃었지만 하나는 여전히 갖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리너구리가 알을 낳는 것은 이 유전자의 영향인 것으로 보이며, 새끼에게 젖샘에서 나오는 젖을 먹여 키움으로써 파충류나 조류처럼 난황 단백질 제조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오리너구리가 알을 낳는 이유는 오리너구리가 속한 단공류라는 포유류 특징 때문입니다.
단공류는 다른 포유류와는 알을 낳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다른 포유류 대부분이 새끼를 낳는 것과 달리, 단공류는 알을 낳아 번식하며 젖샘이 발달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젖샘이 뚜렷한 젖꼭지의 형태가 아니라 땀샘이 변형된 형태로 젖을 분비하죠.
또한 배설강, 생식기, 항문이 하나로 합쳐진 클로아카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이 때문에 한개의 구멍이라는 단공류라는 이름이 붙은 것입니다.
사실 오리너구리와 같은 단공류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포유류 중 하나입니다. 다른 포유류가 태반을 통해 새끼를 낳는 방식으로 진화하는 동안, 단공류는 알을 낳는 원시적인 번식 방식을 유지해온 것입니다. 이는 진화 과정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해왔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죠.
정리하면, 오리너구리가 알을 낳는 것은 단공류라는 독특한 포유류의 특징이며, 이는 오랜 진화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적응 방식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그건 알 수가 없습니다. 다만 오리너구리처럼 포유류지만 알을 낳는 동물들을 단공류라고 분류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