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풋풋한홍학169
풋풋한홍학169

AI가 수입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제안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인공지능 AI가 다음 분기의 인기 수입 품목을 미리 예측해서 기업이나 관세사 측에 미리 안내하고 대비할 수 있게 할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ai가 수입 트렌드를 예측하는 건 충분히 가능합니다. 실제로 무역 데이터, 전자상거래 검색량, 소비자 리뷰, 환율물류비 같은 거시 지표를 결합하면 특정 품목의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을 미리 잡아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 건강식품이나 전자기기가 특정 시기에 급증했던 패턴을 학습해 다음 분기 트렌드를 예측하는 식입니다. 다만 이게 100% 맞아떨어지는 건 아니고, 국제 정세나 규제 변화처럼 돌발적인 변수는 반영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ai 제안은 참고 지표로 쓰되, 실제 통관재고 전략은 사람의 판단과 병행하는 게 현실적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가능합니다만, 이러한 경우 AI의 학습 정도가 이를 가르는 척도가 될 듯합니다. 모두가 AI를 쓰는 세상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같이 반영될 것이기에 오히려 신빙성이 낮다지거나 수익의 기회가 낮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부분에 대하여 가능하다면 심화된 모델로 학습하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가능성만 두고 보면 충분히 시도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AI가 해외 검색량이나 무역 데이터 같은 흐름을 분석하면 특정 품목의 수입 증가 신호를 빠르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전자상거래 트렌드나 품목별 수입 통계를 실시간으로 결합해서 예측하는 사례도 있다고 합니다. 다만 관세사 실무에서 활용하려면 문제는 데이터의 신뢰성과 시차입니다. 우리나라 수입 신고 데이터는 일정 지연이 있고 또 품목분류가 달라 예측이 틀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완전히 자동화된 답보다는 참고지표 성격으로 보는 게 맞습니다. 기업이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데 도움은 되지만 모든 결정을 대신해줄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는 점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