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야생에 버려진 외래침입종 미국가재의 천적은 누구인가요?
미국가재가 본토에서는 라쿤, 스컹크, 밍크, 수달, 주머니쥐, 물수리, 흰머리수리, 백로, 왜가리, 따오기, 저어새, 황새, 붉은귀거북, 악어거북, 앨리게이터 등 몸집이 커다랗고 영리한 포식자들이죠.
하지만 우리나라 야생에 미국가재가 버려진 뒤로 토종생물과 부엽토를 먹고 웅덩이나 흙탕물, 하수구처럼 더러운 물에 들어갔다 나와서 곰팡이균을 옮기게 되었대요.
그러나 집게발도 세고 위험할텐데 국내 하천에서는 수달과 왜가리, 백로가 붉은가재를 잡아먹지만 내륙의 육상 위에서는 누가 미국가재의 천적인가요?
안녕하세요.
미국가재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로 그들의 천적은 주로 물속에서 활동하는 포식자들이었습니다. 이는 주로 수달, 왜가리, 백로와 같은 종이 포함됩니다. 이들 포식자는 물속에서 미국가재를 사냥할 능력이 있으며, 특히 왜가리와 백로는 물가에서 활동하면서 미국가재를 포함한 다양한 수생생물을 먹이로 삼습니다.
내륙에서의 천적으로는 야생에서 적을 찾기가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미국가재는 주로 물가나 습한 환경에 서식하기 때문에, 육상 포식자들은 미국가재를 일반적인 먹이로 삼지 않습니다. 그러나 몇몇 기회주의적 포식자들이 육상에서도 가재를 포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포식자로는 야생 고양이, 오소리, 까치 및 기타 육상 조류 등이 있습니다.
고양이는 기회주의적 포식자로서, 물가 근처를 돌아다니며 가재를 포함한 다양한 작은 동물을 사냥할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 오소리가 물가의 동물들을 포식하는 경우가 보고되기도 합니다. 오소리는 그들의 다이어트에 다양한 동물을 포함시키며, 가재 역시 예외는 아닐 수 있습니다. 또, 일부 큰 조류들은 물가에서 먹이를 찾을 때 가재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까치와 같은 큰 새들은 다양한 먹이를 먹고, 물가에서 가재를 포획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자연 상태에서 가재를 포식할 수 있는 다른 동물들이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미국가재의 주된 천적은 물속이나 물가에서 활동하는 동물들입니다. 미국가재의 확산을 제어하기 위해 인위적인 방법이나 생태계 관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생태계 건강과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미국가재의 천적은 여러 가지가 있죠.
물고기중에서도 대형 물고기인 농어와 송어 그리고 수달,너구리같은 포유류들.. 인간까지..
현재로서는 천적이라 할만한 동물이 많지는 않습니다.
말씀하신 수달돠 대백로, 왜가리 정도가 미국가재를 즐겨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는 삵이 먹는 모습이 관찰되었다고는 하지만 천적이라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그 외 미국가재를 먹는 동물이라면 섬진강의 염화 현상으로 인해 올라온 문어나 상어에게도 잡아먹히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육상에서 미국가재의 천적은 제한적이지만, 몇몇 동물들이 천적이 될 수 있습니다. 너구리와 족제비 같은 소형 육식성 포유류가 미국가재를 잡아먹을 수 있으며, 특히 물가 근처에 자주 서식하는 이 동물들은 미국가재를 발견하면 사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까치나 까마귀와 같은 일부 새들도 기회가 있으면 미국가재를 먹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미국가재는 강한 집게와 비교적 단단한 껍질 덕분에 육상에서는 포식자들에게 덜 노출되며, 수중에서의 천적이 더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