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지혜로운침팬지14
지혜로운침팬지1423.02.18

최저임금 이상으로 물가가 오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최저임금 이상으로 물가가 오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인건비가 오르고 자재비가 올라서 상품의 가격이 오른다고 하는데 최저임금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와 같은 경우 2022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각종 원자재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다른 품목들에도

    영향을 준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코로나19 이후 유동성이 급격히 풀렸고 또한 회복과정에서 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상승하였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유가와 곡물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물가가 최저임금이상으로 상승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2021년 대비 2022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5% 정도 입니다. 그런데 2021년 대비 2022년 최저 임금 상승률은 5.1% 오른 9,160원 입니다. 그러니 물가 상승률 보다 최저 임금률이 더 오른 것 입니다. 올해는 9,620원으로 확정되어 이 또한 5%가 넘습니다. 최저 임금 인상률은 과거에 비해 적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계적으로 경기침체가 온 상황입니다.

    최저임금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 할 정도로 경기가 어렵고 서민들은 더 힘든 상황 때문입니다.

    최저 임금은 1년에 한번씩 오르지만 금리와 한달에 한번씩 지속적으로 올르기 때문에 따라가지 못하죠.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저임금 인상의 계산은 작년에 올해의 인상률을 결정하는 것이다 보니 임금인상에 포함되는 '인플레이션 수치'는 예상수치를 반영하게 되는 것입니다. 즉, 작년에 계산한 인플레이션 예상 수치가 현재의 실제 인플레이션 수치보다 낮다면 결국 최저임금인상률보다 실제 인플레이션 수치가 더 높게 나타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이렇게 실제 인플레이션율이 더 높게 나타나게 된 것은 달러환율 상승의 영향과 다시 상승되고 있는 원유 가격의 상승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는 최저임금 상승이 둔화되어 있기때문에 물가상승률이 더 높은거고 사실 두 지수가 연관성은 있지만 정확하게 비례하는 요소는 아닙니다.


    현재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큐코노미의 영향에 따른 화폐량 증가 / 우크라전쟁으로 인한 물자수요증가(곡물가격 유가 증가) / 코로나19로 인한 보복성소비증가(특히 사치품소비 증가) 등 복합적입니다.


    최저임금은 물가에 아예 영향이 없다고 볼 순 없지만 노동자의 최저생계비를 보장하는 개념에 해당하기때문에 사실 물가에 큰 영향을 준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