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두루두루미
두루두루미

급성뇌경색 관련 문의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50대
기저질환
고혈압,고지혈증
복용중인 약
고혈압약 및 고지혈증약

어제 저녁 아버지께서(56세) 순간 눈 초점이 안맞다고 하시더니 왼쪽 팔 다리가 저리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바로 119를 불렀고 30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였습니다. Ct랑 mri를 찍어보니 ct상에는 출혈이 없다고 하셨는데, mri 결과에서 급성뇌경색 판정을 받았습니다. 사진을 보니 오른쪽 뒷 머리 쪽에 흰 점이 있었습니다. 의사선생님께서는 약물치료를 하면서 일주일동안 뇌질환집중센터에 입원을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어제 밤에 혈전용해제를 투여한거같은데 지금 추석연휴이다보니 mri를 화요일쯤 다시 찍어 볼 수 있을거라고 하셨습니다. 현재 아버지께서는 딱히 불편하신 곳도 없으시고, 의사선생님께서 각종 테스트(팔 들어올리기, 다리 들어보기 등)를 하셨을때도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셨습니다. 그런데 제가 궁금한 것은 혈전용해제를 사용해서 혈관이 뚫리면 다행이지만, 만약 혈관이 뚫리지 않을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요? 시술같은 경우는 24시간 이내에 가능하다고 하던데.. 아버지께서는 mri촬영을 이틀뒤에 하실 수 있다보니.. 그때 만약 혈관이 뚫려있지않으면 시술도 못하게 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시술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뇌경색의 정도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의식이 쳐지거나 혈압이 떨어지는 등의 심한 뇌경색이나 뇌의 1/3 이상 뇌경색의 의심되는 경우, 햘전용해제와 함께 응급으로 혈관 시술을 하기도 하지만 그 자체도 위험성이 있어서 대부분의 급성 뇌경색 은 약물 치료를 통해 호전 여부를 기다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우선 보호자분이 아셔야 하는 것인 혈전용해술이라는 것이 상당히 위험한 시술이라는 것입니다.

    병원에서는 혈전용해술의 부작용을 칠공에서 출혈이 나는 치료라고 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최근 수술받은 곳이 있다면 혈전용해 치료를 함으로써 수술부위에서 다시 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는 그런 극단적인 치료입니다.

    급성뇌경색의 경우 이득이 워낙 크기 때문에 치명적인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시행하는 시술입니다.

    아마도 동의서를 받는 과정에서 출혈로 인한 합병증 사망가능성에 대해서 충분한 설명을 들으셨을 것입니다.

    정황으로 보아서는 환자분 상태가 잘 돌아오신 것 같은데 그렇지 않은 경우도 부지기수이니 운이 좋았다고 생각을 해주세요

    혈관에 직접적으로 시술을 하는 것은 일단 어느 정도 사이즈가 되는 혈관으로 시술을 합니다. 이 경우 CT 혈관조영술로 얼마든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시술을 할 때 사용하는 것은 MRI의 자기장이 아니고 엑스레이이니 MRI가 지원이 되지 않는다고 해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