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찬란한원숭이62
찬란한원숭이62

불멍가루라는게 있던데요, 불속에 넣으면 불의색이 바뀌던데 어떤 원리인가요?

불멍가루라는게 있더라구요, 이걸 불속에다가 넣으면 불의색상이 파란색으로 바뀌고 그렇더라구요. 불이 어떻게 가루에 의해서 색깔이 변할수가 있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말끔한관박쥐166
    말끔한관박쥐166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흔히 배우는 화학기호 있잖아요? 수헤리베비씨는 오프네....해서 1번이 수소고 2번이 헬륨이고 할 때 화학기호에서 보면 나트륨은 노란색 리튬은 빨강색처럼 각 물질마다 연소시 발생하는 고유의 색이 있습니다. 이러한 고유의 색이 불속에 들어갔을 때 나타나는데 그 색들이 퍼지면서 오로라처럼 나오는거죠.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불멍가루는 일반적으로 금속 분말(주로 구리)과 화학적 산화제(주로 클로로아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가루를 불에 뿌리면, 금속 분말은 불과 반응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이 반응에 의해 파란색 불꽃이 발생합니다.

    금속 분말과 화학적 산화제가 반응하여 일어나는 화학 반응은, 전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색상이 결정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에너지 전이" 또는 "발광 스펙트럼"이라고 합니다. 금속 분말과 화학적 산화제는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반응이 발생하면 파란색 불꽃이 발생하게 됩니다.

    즉, 불멍가루를 불에 뿌리면, 금속 분말과 화학적 산화제가 불과 반응하여 파란색 불꽃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불멍가루는 구리(Ⅱ) 산화물(CuO)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학 물질입니다. 불속에 넣으면 불의 산소와 반응하여 구리산화물이 생성됩니다.

    불의 산소와 구리산화물이 반응하는 과정은 화학반응식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2CuO + C → 2Cu + CO2

    이 반응식에서 C는 불의 원료인 탄소입니다. 탄소가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CO2)가 생성되면서 동시에 구리산화물이 환원되어 구리금속(Cu)이 생성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구리금속이 불의색을 내면서 불의 색상이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불멍가루는 불꽃놀이와 같이 중금속 가루가 타면서 발생되는 색입니다. 구리가 파란색, 바륨은 초록색, 나트륨은 노란색, 칼슘은 주황색, 스트론튬과 리튬은 빨간색을 내고, 여러 금속 혼합물로 색을 섞어 보라색 등을 구현한다고합니다. 중금속을 태우는 것이니 몸에 좋지 않아서 거리를 두고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불멍가루(硼산나트륨)는 화재 시 화염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화재 억제제입니다. 이 물질이 불 속에 뿌려지면, 화염 내의 전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색상이 바뀌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불은 화염 색깔을 결정하는데, 화염 내에 있는 화학 물질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색깔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소금화합물을 불 속에 뿌리면 화염이 녹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불멍가루를 불 속에 뿌리면 화염 내의 전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색상이 바뀌는데, 이 때 파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러한 화학 반응은 불멍가루 내의 나트륨(Na)과 화염 내의 산소(O)가 결합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면서 파란색 빛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불 멍가루는 화재 현장에서 불의 색상을 파란색으로 변화시켜 화재를 더욱 효과적으로 진압하는 데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불멍가루는 주로 구리(Copper) 화합물과 금속염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불꽃제입니다. 불꽃제는 불을 지피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특정한 화학 반응을 일으켜 불꽃을 만들어 냅니다.

    불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불꽃이 방출하는 빛의 색깔 때문입니다. 불꽃이 만들어내는 빛은 다양한 색깔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색깔은 화학 반응에 사용된 화학물질에 따라 달라집니다.

    파란색 불꽃을 만들어내는 화학물질은 대체로 구리(Copper)와 관련된 화합물입니다. 구리 화합물은 높은 온도에서 파란색 불꽃을 만들어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불멍가루 안에 포함된 구리(Copper) 화합물이 불꽃에 노출되면 불꽃이 파란색으로 빛나는 것입니다.

    불멍가루는 불꽃놀이나 불을 지피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므로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적절한 사용법과 보관법을 준수해야 하며, 불이 붙은 상황에서는 즉시 안전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불멍가루는 대개 구리 또는 구리 화합물(예: 구리 카보네이트)을 포함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가루는 불꽃 속에서 구리 이온이 화학적으로 산화되어 파란색 빛을 내는데, 이것이 불의 색깔이 파란색으로 바뀌는 원리입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불꽃 속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 원자들이 에너지를 흡수하게 됩니다. 이 때 에너지를 흡수한 원자들은 고에너지 상태가 되고, 다시 기본 상태로 돌아가면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이 에너지 방출의 결과로 불꽃이 생기며, 이 과정에서 구리 이온은 고에너지 상태에서 산화되어 파란색 빛을 내게 됩니다.

    따라서 불멍가루를 불에 뿌리면 구리 이온이 불꽃에 의해 산화되어 파란색 빛을 내면서 불의 색깔이 파란색으로 바뀌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어떤 금속을 포함한 화합물을 불꽃에 넣었을 때 그 불꽃의 색이 금속의 종류에 따라 변하는 현상인 불꽃반응 때문입니다

    리튬 빨간색, 칼륨 보라색, 나트륨 노란색 등의 불꽃색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불멍가루는 불꽃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불멍가루는 일반적으로 금속 분말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꽃 내부에서 이 금속 분말이 녹아들면서 불꽃의 색깔이 변하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는 불꽃색의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불꽃이 불타면서 발생하는 빛은 다양한 파장을 갖고 있는데, 이 중에서 금속 원소가 방출하는 특정 파장의 빛이 눈에 띄게 됩니다. 이 파장은 금속의 종류와 금속 원소의 화학적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데, 불멍가루에 들어 있는 금속 분말은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불꽃색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구리 분말을 불꽃 속에 던지면 불꽃이 푸르게 변하게 되는데, 이는 구리 원소가 방출하는 파장이 푸른색에 가까워서 입니다. 이와 같이 불멍가루에 들어있는 금속 분말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불꽃의 색깔이 변화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은 불꽃에 넣으면 특유의 불꽃색이 나타납니다.

    금속을 구성하는 전자가 열로 에너지를 얻었다가 뱉어내면서 색이 나타나게 되는거죠.

    금속마다 내는 불꽃색이 다른 이유는 방출하는 에너지양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큰 에너지를 방출할수록 짧은 파장의 빛을 내게 됩니다.

    보라색, 남색,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순으로 파장이 짧습니다. 대표적으로 구리가 파란색, 바륨은 초록색, 나트륨은 노란색, 칼슘은 주황색, 스트론튬과 리튬은 빨간색을 내고, 여러 금속 혼합물로 색을 섞어 보라색 등을 구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