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비범한앵무새123
비범한앵무새12323.09.15

빛의속도보다 빠른건 없다가 맞나요?

빛의속도보다 빠른건 없다가 아니라

인간이 인지하고파악할수있는 최대가 빛의속도고


빛의속도를 넘는건

인간이 관측해 낼수없는게 아닐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빛보다 빠른 것은 없습니다.

    SF영화에서 나오는 빛보다 빠른 우주선 등은 허구라고 보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과학적인 이론과 기술로서는 빛의 속도가 가장 빠른 속도이며, 이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서도 그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현재로서는 알려진 우주에서 빛의 속도보다 빠른 것은 없다고 여겨집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우주의 최대 속도로서, 질량을 가진 물체는 빛의 속도를 초과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이론상으로는 빛의 속도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를 초과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양자 역학에서는 특정 조건에서 빛의 속도보다 더 빠른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대성 이론에서 설명되는 "광속 이하의 물질"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이는 물질이 빛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빛의 속도를 초과하지는 않지만 빛보다 느리게 이동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예 아직까지 빛의 속도보다 빠른 기준은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멀리 있는 우주에 대한 거리를 쟁때도 광년우로 표시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빛보다 빠른 것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근거합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항상 299,792km/s로 관측되며, 이 속도를 초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됩니다.


    빛의 속도를 초과하려면 무한한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는 현실에서 불가능하다고 여겨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과학계의 이론이나 정리에 따르면 빛의 속도와 같거나 넘어서기 위해서는 질량이 없거나 음의 질량을 가지는 물질이어야 한다고 합니다.

    아직까지 이러한 물질의 존재가능성은 확인된 바가 없고, 이론적으로도 존재가능성이 없기때문에 빛보다 빠른것은 없다고 하는것입니다.

    물론 먼 미래에는 음의 질량을 가지는 말도안되는 물질이 발견될 수 있을수도 있죠. 그때가 되면 현재의 인류가 천동설을 주장하던 옛 과학지들의 처지가 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질량과 에너지, 빛의속도는 서로 환산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에너지 보존법칙에 따르면 빛의속도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질량이 0이 되어야 하죠.

    질량이 0인 물질은 이 세상에 없기때문에 빛의속도와 같을수조차 없다는 결론에 이릅니다.

    물론 이론적으로는 음의 질량을가진 반물질이나 빛의 속도를 넘어서는 타키온이라는 물질을 가정하고 계산을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반물질이나 타키온, 암흑물질이나 암흑에너지에 대한 관측이나 해석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상황일지 모르지만, 현재 인류의 지식수준에서는 빛의 속도보다 빠를 수 없다는 결론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찬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마찰이 없는 세계에서 물체에 힘을 주면 처음에는 물론 뉴턴의 운동법칙1)에 따라 속도가 증가하지만 그 속도가 빛의 속도에 가까워지면 속도는 별로 증가하지 않고 질량이 증가한다. 자연은 모든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 이상 되는 것을 허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상적인 세계에서는 질량이 반드시 보존되어야 하지만, 물체가 빛의 속도에 비길 만큼 빠르게 운동하는 상황에서는 질량도 보존이 안 될 뿐 아니라 물체의 길이도 짧아지고 시간 간격도 길어진다. 다시 말해서 평소에는 너무 효과가 작아서 표시가 나지 않다가 그런 상황에서는 뚜렷하게 우리가 사는 곳이 4차원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입증되것으로는 빛보다 빠른 속도를 가진 물질이나 입자는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현재까지 입증된것중에 빛이 가장 빠른 속도를 나타냅니다 . 여러 과학자들이 이런저런 근거로 더 빠른것이 있다고는 하지만 과학적으로는 입증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저도 질문자님 말씀처럼 아마도 우리 과학의 한계로 아직 찾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우리가 모르는 미지의 세계 심해라던지하는 곳이 많기 떄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는 우주의 근본 상수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를 초과하는 것은 물리 법칙을 위반하는 것이 됩니다. 그러나 물리 법칙은 절대적인 것이 아닙니다. 과학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새로운 물리 법칙이 발견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를 초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결론짓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인지하고 파악할 수 있는 최대가 빛의 속도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과학 기술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언젠가는 빛의 속도를 넘어서 우주를 탐험할 수 있게 될지도 모릅니다. 현재까지의 과학적 지식으로는 빛의 속도를 초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래에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를 초과하는 것이 가능하다고도, 불가능하다고도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