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가 러시아와 맺은 네르친스크 조약이 무엇인가요?
역사 유튜브를 보고 있는데요.
시베리아에 진출한 러시아와 네르친스크 조약을 통해 국경을 확정했다고 하는데 네르친스크 조약은 무슨 조약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르친스크 조약이 체결된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킵차크 칸국으로부터 독립해 확장을 시작한 러시아는 모피무역에 주목했습니다. 마침 시베리아는 모피가 풍부한 곳으로 이반 4세의 타타르 축출 이후 무주공산이었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카자크들을 고용해 동쪽으로 파병했고, 이들이 시베리아 개척의 아버지들이었습니다. 결국 청나라의 영토인 아무르 강 일대까지 진출하게 됩니다. 러시아의 군사력을 두려워한 청나라는 조선 정부에 원군을 요구했는데 이것이 나선정벌입니다.
러시아 입장에서는 중국과 교역관계를 재개하는 것이 훨씬 이득으로 판단됐습니다. 혼란스런 국내사정이 겹쳐 러시아는 만주로의 영토 확장을 포기하고 대신 러시아의 상업 활동 허가와 국경 확정에 합의, 1689년 조약을 맺고 아무르강 이북 지역[2] 및 외몽골 일부 지역에 대한 국경을 확정했다. 이것이 네르친스크 조약입니다.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르친스크 조약은 1689년 동시베리아의 네르친스크에서 청나라와 루스 차르국 사이에 맺어진 국경 조약으로,
갑차크 칸국으로부터 독립해 확장을 시작한 러시아는 모피 무역에 주목, 마침 시베리아는 모피가 풍부한 곳으로 이반 4세의 타타르 축출 이후 무주공산이었는데 러시아 정부는 카자크들을 고용해 동쪽으로 파병, 이들이 시베리아 개척의 아버지들입닏.
결국 청나라 영토인 아무르 강 일대까지 진출, 러시아의 군사력을 두려워한 청나라는 조선 정부에 원군을 요구하는데 이것이 나선정벌입니다.
러시아 입장에서는 중국과 교역관계를 재개하는 것이 훨씬 이득으로 판단, 혼란스런 국내사정이 겹쳐 러시아는 만주로의 영토 확장을 포기하고 대신 러시아의 상업 활동 허가와 국경 확정에 합의, 1689년 조약을 맺고 아무르강 이북 지역 및 외몽골 일부 지역에 대한 국경을 확정한 것이 네르친스크 조약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시베리아의 네르친스크(尼布楚, 니포초)에서1689년에 청(淸)과 러시아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 이조약으로써 국경분쟁은 일단락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시베리아 동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던 러시아는 17세기 중엽에 헤이룽강(黑龍江 : 흑룡강)까지 진출하면서 청나라와 부딪히게 된다. 그러다 청나라가 러시아의 아르바진성(城)을 포위한 것을 계기로 네르친스크 조약을 맺게 된다. 이 조약은 청나라가 유럽 열강과 처음으로 대등하게 맺은 조약이다.
조약 체결 성공의 배경에는 청나라와 러시아의 노림수가 있었다. 청은 러시아와 손잡고 몽골 준갈이의 가르단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한 계략이었고, 러시아는 청과의 교역이 필요하였다. 여기에 라틴어 통역을 위해 동행한 선교사 페레이라, 제르비용의 주선도 한 몫을 차지했다.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청나라와 러시아는 스타노보이 산맥과 아르군 강으로 국경을 확정하였다. 또한 헤이룽강 하류 지역의 러시아 기지를 철수시킴으로써, 청나라는 러시아의 남진을 막을 수 있었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르친스크 조약은 1689년 러시아와 청나라 사이에 체결되었습니다. 시베리아와 몽골 지역에서 두 나라 사이의 경계를 설정한 중요한 조약이었습니다. 왜 네르친스크 조약이냐면 시베리아의 한 마을 이름이 네르친스크였습니다. 그 곳에서 서명해서 네르친스크 조약이라고 명명했습니다. 이 조약을 맺은 목적은 국경 분쟁을 종식시키고 러시아와 청나라 영토 사이에 명확한 경계선을 설정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스타노보이산맥을 경계선으로 하여 산맥의 동쪽은 청나라, 서쪽은 러시아에 속하게 했습니다. 이 조약은 1727년 캬흐타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효력을 유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