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5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그리고 스테크플레이션은 무엇을 의미하는건가요?

경제지를 읽다보면 한번씩 나오는 단어인 스테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의 의미 차이는 무엇인가요? 셋 다 물가 상승이 공통인 것으로 아는데 세부적인 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23.01.25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각의 단어에 대해서 차례대로 설명 드리도록 할게요!

    • 인플레이션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서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는데, 이에 반해서 제품이나 서비스와 같은 재화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인플레이션은 다른말로는 '실질임금의 하락'이라고도 표현합니다.

    •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과는 반대되는 것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감소하게 되면서 물건의 가격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 스태그플레이션
      경기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재화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과 함께 소비침체와 실업률의 증가등이 발생하는 경기침체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가장 좋지 않은 경제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

    디플레이션 -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침체된 상황임에도 불구,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 화폐가치하락으로 물가상승

    디플레이션 - 과잉공급으로인하여 물가가 낮아지는 것

    스테그플레이션 - 경제침체임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계속 상승하는 것

    요렇게 정리해볼 수 있구요.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 스테그플레이션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저렴해지는데 오히려 소비를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부동산인 경우를 예를 들면 계속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심리 때문에 더 소비를 안하게 되고

    생산자인 기업 입장에서는 매출이 급감하고 투자,설비를 줄입니다.

    악순환으로 접어들게 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