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헐벗은실오라기114
헐벗은실오라기11422.12.13

전투기가 지나가면 왜 긴 구름같은 꼬리가 생기나요

먼 하늘을 가끔 보면 전투기 같은게 지나가면서 긴 구름같은 꼬리를 달고 가는데요

이게 왜 생기는 건가요? 비행기에서 무언가를 내보내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행운은 엔진 후방뿐 아니라 날개 후방에서도 발생한다.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속의 수증기는 외부의 찬 공기에 의해 갑자기 냉각되면서 얼음 입자를 형성한다. 이 입자를 핵으로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순간적으로 엔진 후방 부위에 흰색 구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항공기에 장착된 엔진이 2개인 항공기에서는 두 줄의 비행운이, 엔진이 4개 장착된 항공기에서는 네 줄의 비행운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비가 내린 후와 같이 습도가 높은 공기 중을 비행할 경우에는 공기역학적으로 감압 현상이 일어나 수증기의 응결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압력 변화가 심한 양 날개의 끝 쪽 후방에 비행운이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날개 후방의 비행운은 곧바로 증발하여 사라져 버린다.

    출처 : 뉴스사천(http://www.news4000.com)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3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날때 가늘고 긴 꼬리 모양의 구름을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비행운' 이라고 합니다. 항공기의 연료가 연소되어 배출되는 뜨거운 배기가스의 수증기와 매연의 입자가 높은 고도에서 찬공기를 만나서 얼음이 되거나 액체가 되어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흰색 구름처럼 보이게 됩니다. 비행운이 생기는 고도는 8Km 이상이고 영하 38도씨 이하의 온도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비행운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오래 남아있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전투기가 지나가면 그 자리에 엔진에서 나온 뜨거운 열이 대기의 찬 공기와 섞임과 동시에 응결이 되는겁니다. 그 응결되는 미세한 물방울을 보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운이라고 하는건데 비행기가 지날때 그날 그 지역의 하늘에 기온과 기압 바람의 영향으로

    생길때가 있고 아닐때가 있어요.


  • 비행기 주변이 뿌옇게 변하면서 구름처럼 생기는 것을 비행운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것이 생기는 이유는 배기가스와 하늘의 온도차이 때문입니다.

    겨울에 입김을 불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은 입안의 온도와 바깥의 온도의 차이 때문인데,

    하늘의 온도보다 배기가스의 온도가 급격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입김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엔진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배기가스와 수증기가 높은 고도에서 찬공기와 만나면서 순간적으로 얼어붙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엔진이 작동할때 생성되는 배기가스에 수증기가 응축하며 비행운이 생성되는 것입니다

    대기가 건조할때는 이러한 비행운이 형성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