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한라산이 사화산-휴화산-활화산으로 분류가 변경된 것은 어떤 근거에서 인가요?

과거에는 한라산을 사화산으로 분류했다가 1990년대 중반 쯤에는 휴화산이라고 했다가 2010년대 중반쯤분터는 활화산으로 분류를 했는데 그간에 화산 분류 방법이 변경된 것가요? 아니면 한라산에 대한 조사가 더 자세히진행되어서 새로운 사실이 밝혀져서 바뀐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먹보하마123
    먹보하마123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라산은 최근 활화산으로 분류가 변경되었습니다. 이는 과거 분화 이후 오랜 시간이 흘렀다고 생각했던 것과 달리, 지속적인 지표면 변형과 가스 배출 활동이 관찰되어 활화산의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라산의 화산 분류가 변경된 것은 한라산에 대한 연구와 지질학적 조사가 더욱 발전하면서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면서 변경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질학적으로 1만년 이내에 화산활동 기록이 있는 화산은 활화산으로 분류되어 있고 약 1000년전 한라산은 화산활동이 있었던 기록도 존재하기 때문이며, 한라산의 지하에는 마그마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제주도 중심 하부 55km 부근지점에 마그마가 존재하며 이마그마가 다시 갈라져 제주도 동부와 서부 지하 10~45km 깊이에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주기적인 한라산의 지각활동을 측정하는거죠.

    그래서 기준치 이하로 활동량이 관측되면 그렇게결정되는거죠.

    지금은 거의 사화산으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