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백신 접종 전후 소염진통제 복용해도 되나요?
저희 어머니가 금요일 아스트라제니카 백신을 맞으시는데 잇몸에 염증이 생기셔서소염진통제를 드시고 계십니다. 소염진통제가 코로나백신 항체 형성에 방해가 된다고 해서요. 코로나백신을 맞고 몇 일 동안 소염진통제를 피하면 될까요? 코로나백신 맞는 전날까지는 소염진통제를 드셔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직 과학적으로 소염제가 코로나백신접종후 항체 형성률을 떨어트린다는 연구 결과는 없으나 혹시 모르기 때문에 가급적 소염제복용을 피하라고 하는 것입니다.접종전 소염제 복용은 가능하며.접종후 몇일까지 소염제 복용을 안해야되는지는 권고사항이없습니다.그러나 진통제 먼저 복용해보시고 통증이 해결이 안되면 소염제를 복용하시길 권유드립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접종 후 발열 및 근육통이 있을 때 타이레놀 650mg 짜리 두알을 드시면 되며 6시간 간격을 지켜서 하루 3회까지 복용이 가능합니다.
타이레놀은 소염 효과가 없기 때문에 접종시 면역반응을 저해 하지 않아 접종의 효과를 떨어 뜨리지 않습니다.
만약 다른 이유로 소염진통제를 먹어야 꼭 드셔야 한다면 드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접종 시 다른 원인으로 소염제를 복용 해야 한다면 소염제를 복용 해도 됩니다. 같은 값이면 아세트아미노펜이 면역형성에 유리하다는 것이지 접종시에 소염진통제가 금기인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을 접종하고 먹는 타이레놀은 백신으로인한 발열과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 먹게 됩니다.
타이레놀이 아닌 다른 성분의 진통해열제를 먹어도 큰 이상이 없기 때문에 몸에 맞는 진통해열재를 드셔도 괜찮지만 소염진통제의 경우에는 항체생성을 억제할수 있기때문에 복용을 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괜찮습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십시오.
접종 전에 진료시 상담 받으시면 불안한 마음이 가실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소염진통제보다는 해열진통제를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소염진통제를 쓴다고 해서 항체 생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나 면역 반응이기 때문에 염증을 억제시키는 작용에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증상에 대한 개선을 위해 해열진통제를 쓰는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백신 전후로 소염진통제를 드신다면, 원래는 백신접종 후로 3일정도는 복용을 중지하는것이 좋습니다.
통증이 있다면 타이레놀을 드시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잇몸염증으로 인한, 소염진통제복용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라면, 복용한다고 해서 부작용이 생기는것은 아니기 때문에, 복용을 하셔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가 백신의 항체 형성 효과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기는 합니다만, 그러한 우려 때문에 필요한 약물 복용을 멈추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잇몸의 염증에 의해서 약을 먹고 계시다면 백신 접종과 무관하게 약물을 복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소염진통제의 복용이 코로나 백신 접종 전후로 금기는 아닙니다.
소염진통제가 백신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나, 소염작용으로 인해 항체가 충분히 생성되지 못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소염진통제를 무조건 복용하면 안되는 것은 아니며,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여 필요한 경우라면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통은 드시던 약은 백신 접종과 관계없이 계속드시길 권장합니다.
소염진통제의 소염효과가 면역을 형성하는 것을 방해한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아직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은 아닙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후 열이나고 몸살기운이 있을때 CDC에서는 타이레놀이나 이부프로펜 을 먹으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이부프로펜도 소염진통제입니다.
따라접종과 상관없이 계속드셔도 괜찮으실것 같습니다.
잇몸염증이 많이 심하지 않으시다면 백신맞기전후로 하루정도 쉬시는 것도 괜찮을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 관련하여 문의주셨습니다.
이제 막 개발 된 백신이며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효과가 얼마나 될지, 어떤 부작용이 나올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변종 코로나에 대한 추가적인 접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당단백질 백신이 아닌 mRNA 백신의 경우 기존에 우리가 맞던 독감과 같은 예방접종과 다르기 때문에 그 부작용이나 효과를 예측하기가 더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펜데믹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 접종 하는 것을 권합니다.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어도 상당기간 마스크 착용과 손씻는 것과 같은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셔야 할 것입니다.
참고로 아래 자료는 임상실험이후 나타난 각 백신별 부작용입니다. 참고하시고 경한 부작용이 있다면 타이레놀을 복용하시고, 증상이 심하시다면 접종하신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타이레놀 이외 다른 진통제는 백신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일부 보고가 있습니다.
** 아스트로제네카
-접종 부위 통증(84.1%)
-피로감(62.9%)
-두통(55.1%)
-근육통(38.3%)
-오한(31.9%)
-관절통(23.6%)
-발열(14.2%)
-접종 부위 부기(10.5%)
-접종 부위 발적(9.5%)
-오심(1.1%)
-권태감(0.5%)
-임파선염(0.3%)
** 얀센
-접종 부위 통증(92.0%)
-피로감(70.0%)
-두통(64.7%)
-근육통(61.5%)
-관절통(46.4%)
-오한(45.4%)
-오심/구토(23.0%)
- 겨드랑이 부기 및 압통(19.8%)
-발열(15.5%)
-접종 부위 부종(14.7%)
-접종 부위 홍반(10.0%)
** 화이자
-접종 부위 압통(>60%)
-접종 부위 통증, 두통, 피로감(>50%)
-근육통, 권태감(>40%)
-발열, 오한(>30%)
-관절통, 오심(>20%)
참고) 1차 접종과 비교하여 2차 접종 후 이상반응은 발생 빈도가 적고 더 경증으로 알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