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쿼리를 공부해보고 싶으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일을 함에 있어서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다 보니 쿼리를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찾아보니 자격증은 개발자가 아니면 배울 내용이 없어보이던데 실무 쿼리를 공부해보고 싶으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보처리기사입니다.

    우선 기초 지식을 쌓아야 하기에 책 한권은 있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집 pc에 실습 환경을 만들고, 프로젝트를 하나 해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카페나 유튜브를 통해서 노하우를 공유하면서 연습을 많이 해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조원우 정보처리기사입니다.

    쿼리를 배워 실무적으로 사용하고 싶으면 유투브

    등에서 초급자용 오라클 SQL 사용법을 찾아 보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자격증은 취득생각이 없으신걸로 보이는데 SQLD 정도는 취득하시면 도움이 될껍니다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융복합 과학기술전문가 이중철 정보처리기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먼저,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을 느끼고 쿼리 공부를 시작하려는 질문자님의 마음에 응원과 박수를 보냅니다.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쿼리 학습법을 최대한 명쾌하게 답변해 드릴게요!

    1. 질문의 요지

    • 개발자가 아닌 일반 직장인이 데이터 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쿼리를 학습하는 효과적인 방법과 접근법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2. 답변:

    • 가장 중요한 점: 실무 쿼리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배우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며, 이론보다는 '실습'과 '데이터를 다루는 경험'을 중심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3. 구체적인 설명 및 근거

    • 이유: 쿼리는 데이터베이스에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고, 추출, 수정, 관리하는 언어입니다. SQL은 데이터베이스와 대화하는 가장 기본적인 언어로,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더라도 충분히 학습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은 이론적인 내용을 다루는 경우가 많아 실무에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고 느끼실 수 있지만, 실무에서는 복잡한 프로그래밍 로직보다 **'데이터를 어떻게 추출할 것인가'**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합니다.

    4. (참고) 실제 사례/대응방안 등

    • 효율적인 학습 로드맵:

      - 기초 문법 익히기: 온라인 학습 사이트(Codecademy, 생활코딩 등)에서 SELECT, FROM, WHERE, GROUP BY, JOIN 등 가장 기본이 되는 SQL 문법을 먼저 익히세요. 쿼리의 70~80%는 이 기본 문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실습 위주의 공부: 이론만으로는 실력이 늘지 않습니다.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실습용 웹사이트를 활용하여 직접 쿼리를 작성해 보세요. 머리로 아는 것과 직접 써보는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 실무 데이터 활용: 익숙해지면 회사 내부의 비공식적인 데이터를 활용해 보세요. 예를 들어, '특정 상품의 월별 판매량'이나 '고객별 구매 패턴' 등을 직접 쿼리로 추출해보면 학습 동기가 높아지고 실무 능력도 향상됩니다.

    • 실무 쿼리 팁:

      - 데이터베이스 설계 이해: 실무에서 다루는 데이터가 어떤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고, 각 테이블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하면 복잡한 쿼리도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사람의 쿼리 분석: 사내에서 사용하는 쿼리 파일이 있다면, 이를 분석하며 선배들은 어떻게 쿼리를 작성하는지 배워보세요. 이는 가장 빠른 학습 방법 중 하나입니다.

    5.결론

    • 쿼리 학습은 개발자가 되기 위한 과정이 아닙니다. 데이터를 다루는 '도구'를 익히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려워하지 마시고, 실습 위주로 꾸준히 학습하면 분명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궁금증이 조금이라도 해소되셨기를 바랍니다.

    언제든지 더 궁금한 것이 생기면 똑똑 문을 두드려 주세요~.👋

    이상, 이중철 과학기술전문가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