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영특한독수리54
영특한독수리5423.01.24

먹구름은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비가 오기 전에 하늘을 보게되면 그 구름의 색이 회색이나 거뭇거뭇하게 보이잖아요.

이런 먹구름은 어떤 원리로 인해서 검정색으로 보이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4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크기가 다른 물방울 들이 모여서 빛을 산란하기 때문에 항상 흰색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물방울의 밀도가 높아져서 비가 내릴 정도로 구름이 두꺼워지면 통과하는 빛이 적어지게 되고, 구름의 아랫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크게 감소해서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어두운 구름이 먹구름 입니다. 구름속의 물방울이 커지게 되면 먹구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생성과정입니다,,

    먹구름은 이렇게 생긴 구름이 두꺼워서 빛을 흡수, 산란하므로 검게 보이는 것일뿐

    구름이 까맣게 되어서 그런게 아니고요,,

    비가 오는 원리는 이렇게 생긴 구름에 수증기가 많이 포함되어서 무거워서

    그 무게때문에 떠있지 못하고 비가 되어 떨어지는 것입니다,,


  •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과 얼음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곧 비가 내릴 먹구름이 검은 이유는 물방울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커지면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더 커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반사하는 빛의 양이 적으니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