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가 알아두면 좋은 금융 꿀팁이 있을까요?
당장은 아니지만 서로 준비를 해가면서 얼마 뒤에 결혼을 하려고 하는데요, 주변에 친구들을 보면 금융에 대해서 빠삭한 경우 이것저거서 지원정책이나 제도를 챙기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쌩돈을 들여서 사거나 혹은 지원을 받지 않다가 뒤늦게 아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저도 뭔가 정보를 찾아보고 있는데, 신혼 부부가 알아두면 좋은 금융 꿀팁엔 어떤 것들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신혼부부 지원제도를 보면 혼인신고를 당장 하는 것보다
기다렸다 하는 것이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버팀목전세대출이나 청약에서 특히 유불리가 갈립니다
또한 24년부터 혼인신고를 한 부부에게 각각 50만원씩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즉 100만원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신혼부부가 알아두면 좋은 금융 꿀팁에 대한 내용입니다.
부부 중에서 어느 한쪽의 소득이 더 높다면
신용카드는 높은 소득 쪽의 카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계좌를 여러개 놔눠서 돈을 필요에 따라 분할해서 사용한다, 계좌의 목적에 맞게 사용한다. 가능하면 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를 사용한다 등이요.
가장 먼저 서로의 통장은 합치는 게 좋은데요. 각자의 용돈 통장과 수익을 모을 공용통장을 별도로 만들어서 중복된 지출을 줄일 수 있고, 부부 중 한 명이 과도한 쇼핑으로 지출을 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은행,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이용할때엔 부부 중 소득이 더 많은 사람의 주거래은행을 이용하는 게 좋은데요. 연봉이 높은 사람 쪽으로 지출을 몰아야 세금 혜택을 많이 볼 수 있기 때문인데요. 반대로 연금저축펀드나 신탁보험 등은 소득이 낮은 사람의 명의로 가입하면 유리한데, 세액공제율이 높기 때문이죠.
마지막으로 대출을 받을 때는 소득 낮은 사람이 받아야 추후 연봉이 오를 때 ‘금리인하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신혼 부부를 위한 금융 꿀팁 드립니다.
1. 정부 지원 정책 꼼꼼히 확인: 주택 구매, 양육비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이 있으니, 신혼부부 지원 포털 등을 통해 혜택을 꼼꼼히 따져보세요.
마이홈포털
- https://naver.me/FPaz2bqX
2. 소득과 자산 현황 파악: 부부의 소득과 자산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맞춤형 금융 상품을 설계하여 합리적인 자산 관리를 시작하세요.
3. 가계부 작성과 목표 설정: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주택 마련, 자녀 양육 등 목표를 설정하여 장기적인 재무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