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가 하락해도 국내 유가가 오르는 이유는 뭘까요?
국제유가가 하락을 하더라도 국내 유가는 반대로 오르는 현상이 자주 있는데
그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다시 내리는 국내 유가도 천천히 내리던데 왜 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제 유가는 국제 유가 외에 환율, 세금, 정유사 유통비용 등이 함께 반영됩니다.
따라서 국제 유가가떨어져도 원/달러 환율 상승 시 국내 가격은 유지되거나 오를 수 있습니다.
가격 인하 시점이 느린 이유는 정유사 재고 소진과 공급 계약 구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의 영향이 큽니다.
국제유가는 달러로 계산이 되는데 환율이 상승하는 경우 한국에서는 원유가격이 더 비싸지게 될 수 있는 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제유가가 하락함에도 국내 유가가 오르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환율에 그 이유가 있습니다.
가령 달러화로 표시되는 국제유가가 조금 내려고
환율이 많이 오르면 반대로 우리 기름값은 오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달러 환율 상승, 높은 세금 비중, 그리고 유류세 조정 때문에 국내 유가와의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유 수입·정제·유통 과정의 시차와 정유사·주유소의 가격 전가 구조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제 유가가 하락을 해도 시차가 꽤 있긴 합니다 통상 2-3주 정도 걸리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보다 요즘 원달러 환율이 올라서 사실 국제유가 하락분보다 환율이 오른게 더 크지 않을까 싶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제유가가 떨어져도 국내 휘발유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국제유가 외에도 환율이나 정제 마진, 유통 비용, 국내 정유사 및 주유소 간의 경쟁 요인 등 다양한 복합적인 요소들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제유가 하락 시 국내 유가 상승 현상은 환율 상승(원화 약세)과 정유사 정제 마진 증가로 발생합니다. 또한, 정유사의 고가 재고 소진 지연과 이윤 추구 전략으로 하락 반영이 느려 일명 로켓-낙하산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로켓-낙하산 현상 : 국제유가가 오를 때는 국내 유가가 빠르게(로켓처럼) 상승하지만, 국제유가가 내릴 때는 국내 유가가 천천히(낙하산처럼)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