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안쪽 치아가 드러나는경우 이가 시린이유가 무엇인가요?
양치질을 세게해서그런지 치과를 가서 진료를 받아보니 잇몸안쪽의 치아가 드러날정도로 잇몸끝단이 치아위쪽으로 많이 후퇴했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그 부분을 덮어주는 시술같은것을 받았는데 신기하게도 시린증상이 많이 사라졌습니다.
평소에도 드러나있는 치아쪽보다 잇몸안쪽의 치아쪽 신경이 더 예민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치과의사 정경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잇몸에 덮여있어야할 치아의 뿌리부분은 치아의 머리부분과 구성이 다릅니다. 에나멜질의 두께가 얇아지고 시멘트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린 증상을 더 예민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잇몸쪽 치아가 드러날 정도로 퇴축이 되었다면 뿌리가 노출된 것이기 때문이며 뿌리에는 신경이 있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 외부자극에 민감합니다.
말씀하신 부위가 노출되면 해당 부분이 다른 부위보다 신경과 가까워서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해당 부위를 레진 등으로 수복해주면 외부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신경 반응을 줄여 불편감을 줄여주게 되는 것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신경이 예민하다기 보다는
잇몸 안에 치아가 있으면 찬물 등의 자극이 적게 가해지기 때문이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불을 안 덮고 있으면 덮고 있을때보다 추운것 처럼요
치경부가 마모 되는 경우 상아질이 노출되어 신경이 노출되게 되어 시린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마모부위를 메꾸는 치료를 받으면 시린 증상개선에 도움을 줄수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
양치질을 할 때 사용하는 치약에는 연마제가 들어 있기 때문에 강한 힘으로 양치질을 할 경우 마모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마모증이 치아를 시리게 만들 수 있는데 해당 부위가 치아가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잘 깎이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치과의사 김철진입니다. 잇몸이 내려가거나 양치를 강하게 해서 치경부 마모증이 생기게되면 치아의 뿌리가 노출됩니다. 치아의 뿌리는 예민한부위라서 시린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치아의 구조상 바깥쪽 법랑질이 없고 안쪽이 노출되어 있으면 치아 속 신경이 자극되어 시릴 수 있습니다. 잇몸이 퇴축되어 법랑질이 없는 아래쪽 뿌리가 드러나면 바로 안쪽이 노출된 것이므로 치아가 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