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투명한꽃무지288
투명한꽃무지28821.09.06

밥을먹을때 턱관절에서 소리가나요 왜그럴까요?

밥을 먹을때 턱관절에서 뚝뚝 소리가 나는데 왜그럴까요? 통증은 없는데 씹을때마다 소리가 나니 신경이 쓰이는데 왜그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턱 관절의 장애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턱관절 장애의 원인으로 부정교합이나 이를 꽉 깨무는 습관, 자면서 이빨을 가는 버릇등에 의해 발생 할 수 있으며 입을 너무 자주 크게 벌리는 행위 등도 증상을 악화 시킵니다.

    보통 하품을 할때나 음식을 씹을 때 턱의 통증을 느끼게 되며, 턱 관절에서 잡음이 발생 하기도 합니다.

    검사 방법으로 턱을 벌려서 남자는 4.5-5cm, 여자는 4-4.5cm 이상 턱이 벌어져야 정상으로 봅니다.

    이갈이가 심하다거나 이빨을 꽉 깨무는 경우에는 교합안정장치인 스프린트 라는 것을 사용 합니다. 통증이 심하면 소염제나 근이완제, 항우울제 등을 사용하며, 씹는 근육에 보톡스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턱관절이 불편하시면 다음의 방법으로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나 구강내과에 가셔서 진단을 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온열요법 (병원에서 초음파나 열치료 등을 이용해 턱에 열을 가해주는것입니다.)

    => 온열치료를 하시면 국소온도 상승시켜 대사증진을 도모시켜주고,

    혈관을 확장시켜 산소, 백혈구 등의 만섬염증을 완화시키는 물질들이 잘 모이게끔 해줍니다.

    또한 자유신경종말을 자극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약물치료도 같이 병행하셔야할 수 있습니다.

    (보통 근이완제, 진통소염제 등을 처방받으시게 됩니다.)


    증상이 심하시면 night guard, occlusal splint 등의 장치를 하셔야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창규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턱이 불편이오시면 여러가지 방법으로 치료를 하셔야합니다.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가시는것이 좋습니다.)

    턱관절은 기본적으로 최대한 쓰시는것을 피하셔야합니다.

    (이를 악물거나, 딱딱한 음식을 씹거나 이갈이를 하거나 하는등의 행동이 턱관절을 더 불편하게 만듭니다.

    팔이 아프면 팔 깁스를 하시듯이 턱도 아예 안쓰시는것이 좋지만, 기본적으로 말을 하고 먹어야하기 때문에 그럴수는 없습니다.

    그래도 최대한 안쓰려고 노력하셔야 치료가 빨리됩니다.

    추가로

    병원에서 물리치료(초음파 치료, 전기자극치료 등)을 받으시면 좋으시고,

    심하시면 관절강세정술 (Arthrocetesis)을 받으셔야할수도 있씁니다.

    (관절강내 하이알론산을 주입하여 연골의 재생에 도움을 주는 술식입니다.)

    (스테로이드를 주입하는 경우는 많이 사용하지는 않고 골성유착이 있을때만 사용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턱관절에 문제가 있을 확률이 있어보이십니다.



    턱관절이 아프시거나 소리가 나면 단기간에 치료가 끝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느정도 인내를 가지고 구강내과나 정형외과등에 가셔서 치료를 하셔야합니다.

    1. 열치료

    적외선램프나 TENS, EAST 등의 방법으로

    턱에 열을 가합니다.

    열을 가해주면 턱에 분포하는 혈관이 확장되게 되어 혈류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턱의 염증물질을 완화시키는 물질들이 잘 도달하게 되어 치료가 촉진되게 됩니다.

    2. 약물치료

    근이완제 (Methocarbamol, Baclofen, Eperisone, Tolperisone hydrochloride 등)

    항우울제 (TCA,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진통소염제 (Salicylates, Oxicam, Paraaminophenol, Propionic acid, Acetic acid, Celebrex

    제산제 (소염진통제 복용시 위점막이 손상이 가해질수 있어서 처방합니다.)

    등을 처방합니다.

    3. 턱관절을 안좋게하는 습관들을 교정하는 치료를 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튜브로 음식을 씹을 때 입으로 음식을 씹을 때 턱관절은 우리가 앞뒤로 움직이게 됩니다 이것이 관절 속에 염증이 있거나 관절 쪽에 장애가 있다면 딱딱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없다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지만 계속이다 이상하면 치과 진료 한번 보십시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턱관절장애의 증상에 속하십니다만 정확한 진단은 병원에 가보셔야할것같습니다.



    턱관절장애의 치료

    적외선램프

    초음파치료 => 열효과를 일으켜 관절강직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혈류량 증진 및, 염증을 완화시킵니다.

    습열팩

    근육전기자극요법 => 관절가동범위를 어느정도 유지시키고, 경련을 완화시키며, 혈류량을 증진 시킵니다.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 (TENS) => 전류를 이용하여 말초감각을 자극해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전기침자극요법(EAST) => 해가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치료점에 침을 자입하여 전류를 흘려 치료를 하게 됩니다.

    등을 이용해 치료를 진행합니다.

    보통,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 또는 정형외과에서 치료를 받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의 증상으로 보아 턱관절 질환이 의심됩니다. 턱관절 질환은 단순히 턱관절 디스크에서부터 저작근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파악이 필요합니다. 또한 일부에서는 골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에 의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자가치료는 불가능하며 보통은 방사선 사진 촬영 이후에 본인의 턱관절 상태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방치시에 개구장애 및 정중선 불일치, 교합 장애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났을 때 반드시 치과 방문하여 치료하시길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과대학병원에 가셔서 구강내과에 가셔서 상담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턱관절의 통증, 딱딱 소리, 자갈소리 등은 치아를 악무는 습관/단단한것을 드시는습관/스트레스/알콜/치열문제 등등 아주 많은 요인에 의해 나타납니다.


    기본적인 개선법을 말씀드리면

    1. 온찜질은 주기적으로 한다

    2. 단단한것을 먹지 않고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먹는다

    3. 나도 모르게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을수 있으므로 확인하고 고친다.

    4. 턱이 아픈지 안아픈지 확인하기 위해 이를 세게 물거나 하지 않는다.

    5. 입을 크게 벌리지 않는다. (특히 하품할때 입천장에 혀를 대고 하품하여 입이 크게 벌어지지 않도록 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턱관절에 디스크가 움직이면서 소리가 날겁니다.

    통증이 나지 않으면 크게 신경안쓰셔도되나 자꾸 소리를 유발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