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이번에 금리를 내릴까요?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우리도 과연 따라 내릴까요?
미국이 이번에 금리를 내릴까요?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우리도 과연 따라 내릴까요?
금리를 내리게 되면 부동산이 또 올라갈까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상당히 높아보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내린다고 하여도 우리나라는
현재의 금리차를 보았을 때 그것보다 소폭 내릴 확률이 더 높아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미국의 금리 변동은 한국의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한국의 금리 결정은 국내 경제 상황과 인플레이션율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한국은행이 독립적으로 결정합니다.
미국이 금리를 내린다고 해서 반드시 한국이 금리를 내리는 것은 아니지만 내릴 가능성은 크다고 생각됩니다.
부동산 가격은 금리 외에도 경기 상황, 부동산 시장의 수급, 정부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금리가 내린다고 해서 부동산 가격이 반드시 오르는 것은 아닙니다.
금리가 내리면 대출금리가 낮아져 부동산 시장에 자금이 유입될 수 있지만, 경기가 침체되거나 부동산 시장의 공급이 과잉되는 등의 상황에서는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내일 FOMC에서 미국이 금리를 인하할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도 그 기조를 따라서 금리를 인하해 갈 것입니다
그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는 내수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금리를 내려서
경제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부동산 가격은 잡아야하니 최근의 부동산 대출 규제등을 발표했던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 여부는 여러 경제 지표와 연준의 정책 방향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미국이 금리를 내린다면, 한국은행도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를 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글로벌 경제와 자본 흐름을 고려할 때, 한국도 금리를 내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이 이번에 금리를 내리면 우리도 따라 내릴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의 기준 금리가 어떤 숫자로든 내려가게 된다면
우리의 기준 금리 역시 내려갈 가능성이 있긴 합니다.
다만, 현재 부동산 가격 등의 문제로 인해서
다시 바꾸지 않을 가능성도 없잖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고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릴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입니다. 즉 10월에 있을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의 방향은 이창용총재가 8월에도 금리동결했을때 분명히 언론이나 시장에서 언급했듯이 지금은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한 시점이지만 현재 한국은 수도권의 부동산시장과 가파른 가계대출증가에 대해서 크게 우려를 하고 있으며 현재 내수가 둔화되는 시점에서 금리인하가 이루어진다면 오히려 부동산과 가계대출만 더 가속화되는것에 우려를 했던것입니다.
이에 대해서 금리동결을 하였으며 향후 이부분에 대해서 한국은행이 아닌 정부가 직접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속적으로 언급을 하였고 최근행보에서도 언론이나 시장에대해서 지속적으로 경고를 했었습니다.
이미 이창용총재는 상반기에 미국이 금리인하를 한다고 하더라도 한국은행이 똑같이 따라할 이유가 없다고 언급하였으며 결국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은 미국의 금리인하가 아니라 한국의 부동산과 가계대출의 상황이 더 중요한 변수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있지만 결정은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만약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한국도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따라 내릴 가능성이 있지만 한국은행은 자체 경제 상황을 고려해 결정할 것입니다.
금리를 인하하면 대출 비용이 낮아지면서 부동산 수요가 늘어날 수 있어 부동산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의 움직임은 금리뿐 아니라 다양한 요인에 영향 받기 때문에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준이 금리 인하를 결정하면 한국은 자연스럽게 금리 인하를 할 확률이 높습니다.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는 한국 시장의 달러화 유입의 증가를 불러오게 됩니다.
미국의 금리가 싸지면 상대적으로 높은 한국 시장에서 투자를 하기 때문에 달러의 유입이 커집니다.
달러의 유입이 커지면, 한국에 달러가 많아지는 현상이 벌어집니다. 이는 달러 값이 싸지고, 원화 강세로 이어집니다.
원화 강세는 즉, 환율 하락을 의미합니다.
환율 하락은 수출로 먹고 사는 한국에게 적신호로 작용합니다. 환율이 증가해야 수출에서 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한국은 미국 연준의 결정에 따라갈 확률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