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체에게 적합한 행성의 표면 온도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해 행성의 최소한의 표면 온도는 얼마정도여야 하나요? 행성의 표면 온도가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을 경우 생명체가 어떻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단순 생명체가 아니라 인간을 기준으로 한다면 너무 높거나 낮으면 안됩니다. 이거에 대한 기준은 다르겠지만 인간을 기준으로 한다면 지구의 온도 정도가 될듯 합니다.
이보다 더 중요한건 물이 있는지 없는지의 유무입니다. 그리고 대기의 조건이 있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명가능지대란 행성의 표면온도가 약 0~100℃ 안에 있는 행성을 말하는데
이 온도의 범위가 중요한 이유가 바로 물이 액체상태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해 행성의 최소한의 표면 온도는 영하 20도 정도입니다. 이 온도 이하에서는 물이 얼어붙어 생명체의 활동에 필요한 물질의 이동이 어려워집니다. 또한, 생명체의 세포막이 파괴될 수 있습니다.
반면, 행성의 표면 온도가 섭씨 100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물이 끓어버려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이 되지 못합니다. 또한, 생명체의 세포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높은 온도의 경우, 생명체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포막 파괴 : 세포막은 생명체의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막으로, 물질의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온도가 너무 높으면 세포막이 파괴되어 물질의 이동이 막히고, 생명체가 죽게 됩니다.
단백질 변성 : 단백질은 생명체의 기본 구성 요소로, 여러 가지 생명 활동에 관여합니다. 온도가 너무 높으면 단백질이 변성되어 기능을 잃게 되고, 생명체가 죽게 됩니다.
유전자 손상 : 유전자는 생명체의 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로, 생명체의 형성과 발달에 관여합니다. 온도가 너무 높으면 유전자가 손상되어 생명체가 죽거나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낮은 온도의 경우, 생명체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의 어는점 : 물은 섭씨 0도에서 얼어붙습니다. 온도가 너무 낮으면 물이 얼어붙어 생명체의 활동에 필요한 물질의 이동이 어려워집니다.
세포막의 경화 : 온도가 너무 낮으면 세포막이 경화되어 물질의 이동이 막히고, 생명체가 죽게 됩니다.
단백질의 응고 : 단백질은 온도가 너무 낮으면 응고되어 기능을 잃게 되고, 생명체가 죽게 됩니다.
물론, 극단적인 온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생명체도 있습니다. 이러한 생명체를 극한 생명체라고 합니다. 극한 생명체는 온도뿐만 아니라, 압력, 방사선, 화학물질 등 다양한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명가능지대를 계산하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는 것으로 입니다. 모항성의 광도를 이용하여 복사평형식을 세워 평형온도가 273K~373K인 영역을 기준으로 생명가능지대의 바깥쪽 경계와 안쪽 경계를 계산하는 것인데요.
생명 가능지대의 온도 이외에는 생명체가 살기 힘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