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기아16년차팬
기아16년차팬

월수입 250정도면 적금 비율을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제가 이것저것 본업과 부업을 하면 월수입 250정도 되는데요

제가 빚도 있어요 한 500정도

근데 그 빚은 천천히 갚아도 되는 빚이라서요

그래서 일단 매달 70만원 청년도약계좌적금에 들려고 하는데요

나머지는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에요

보통 월세랑 관리비 폰비 교통비 하면 60이고 학교 등록금 해서 달에 20씩 고정비용있어서

한 80이 고정비용같네요

이정도에서 적금비율 어느정도 하는게 좋을까요?

적금비율 정하고 소비를 하는게 아끼는데 도움이 될것 같아서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기대할게요

하루 행복하게 마무리하시길 응원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본인의 나이가 어떻게되는지 모르겠지만 아직 결혼을 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남는 돈은 모두 저축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한의 용돈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펀드나 CMA, MMF 등에 저축해 놓으시기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월수입 250만원인 경우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250만원 중에서 비용이 80만원이 들어가고 기본적으로 70만원의 청년도약계좌가 있기에

    나머지 100만원이 있다면 저라면 적금을 넣기 보다

    다섯 달 빠짝해서 500만원 빚을 먼저 상환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에 현재 고정 비용이 약 80만원이고 쳥년도약계좌적금으로 월70만원을 넣을 계획이시라면 적금 비욜은 15~20%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이 정도 비율이면 어느 정도 소비에 여유를 두고 동시에 빚 상환도 고려 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온라인 상으로 하루에 1~2시간 정도 꾸준히 시간을 투자하면 월 10만원 정도 수익 창출이 가능한 곳이 많으니 이런 부업도 한번 고려 해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채 상환을 천천히 하셔도 된다고 하셨으나 청년도약계좌 70만원과 고정지출 80만원을 제외하면 가용자산 100만원 중 10만원은 부채상환을 조금씩 하시고, 나머지 90만원을 나눠서 적금을 가져가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저축을 할 때는 비율도 좋지만 장기적으로 소득이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나의 고정 소비를

      제외한 금액을 모두 저축하는 방식으로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 다만 비상금까지 고려한다면 현재 상황에서 100만원을 제외한 모든 금액을

      적금 상품에 가입하는 방식으로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 처음에는 버거울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기하급수적으로 돈이 모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는 적금금액이 낮을 수밖엔 없겠습니다

    일단 빚부터 없애는 것으로 전략을 짜시고 그 다음 그 돈을 저축으로 변환해야겠습니다.

    보통 월세살면 40%정도 저축이 가장 현실적이라 최소한 그정도로 가주시되 조금이라도 수입이 많아지면 최대한 많이 모아서 전세나 보증금을 올리고 월세를 낮추는 쪽으로 가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득 250 에서 고정비요 80 빼면 남는 돈이 170 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몇프로를 저축하냐 차이일거 같습니다

    보통 50프로 이상은 하시는거 같구요 많이 하시는 분들은 70-80프로 정도 하는거 같습니다

    이 저축비율을 정하고 나머지 돈만 가지고 한달씩 사는게 중요한거죠!!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월수입이 어느정도이냐에 따라서도 다르겠지만, 결국 자취를 하느냐, 집이 있느냐에 따라 다를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자취를 한다면 자취비를 뺴야 하겠지만, 그것이 아니라면, 생활비 또는 차량비만 고려하면 되니 지출이 조금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빚이 있다면 고정비용 다음 순위가 빚이고, 그 다음이 적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빚은 최대한 빨리 갚으시고, 빚이 완납이 된다면 적금을 가입하시되, 요즘은 파킹통장의 이율이 충분히 높기 떄무네 파킹통장의 가입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파킹통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모네타 사이트를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파킹통장의 금융권 별로 이자율을 안내해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 부양가족이 없고 기존 부채에 대한 원금과 이자 부담이 상당 기간 없다면 월 수입의 반 이상은 예적금과 투자로 떼어 놓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종잣돈을 모아야 하니 수익률이 낮은 예적금은 투자 원금의 30~40% 이내로 하고 나머지는 너무 과하지 않게 공격적인 투자 포트폴리오로 굴려도 나쁘지 않을 듯합니다.

    주식 비중이 높은 펀드나 예적금 수익률 보다 높은 ETF 투자 등도 고려해 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아니면, 특판 예적금에 1~2년 굴리며 복리 효과를 누리는 것도 좋은 방법 같습니다.

    다만, 주식 직접 투자와 코인 투자는 절대 추천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