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과거 양반이되려면 어떻게했어야하나요?
과거 신분에따라서 양반과 노비가 갈렸다고하는데요
양반이 되기위해서는 그때당시 어떤조건이 필요했고
어떻게했어야하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조선시대 양반은 조선 초기만 하다라도 본래 문반과 무반 관료를 의미합니다. 법적으로 양반의 기준은 본인의 관직 획득과 4조(부, 조부, 증조보, 외조부) 이내의 관직 보유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4조 이내의 양반 획득이 불가능한 상황에 벌어지면서 양반이 되는 덕목이 유교 교양 · 관직 이외에 도덕이 포함되었습니다. 따라서 벼슬이 가능한 신분과 그 가족으로 확대되어 갔습니다. 또한 양반은 관직에 나가기 위해서는 과거에 합격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경제적 여유가 필수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는 신분제가 양천제이며 양인/천민을 의미하는 양천제인데요. 양인에는 또 양반, 양인, 상민으로 총 3계층으로 추가 구붐이 됩니다. 양반은 국가직을 수행하면 양반이 되었는데 이는 자식까지 이어지는 신분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특권층이었지만 일반 농민들이 과거시험을 치루는 것은 합법이었고, 실제로 과거에 합격하면 양반이 될 수 있었죠.
실질적으로 농민이 과거를 치룰 수 있는 여건이 안 되었지만 천민은 불가능 하지만 농민의 경우 과거시험을 통해 양반이 될 수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양반이 되기 위해서는 소위 전쟁에서 공을 세운다거나(군공), 납속(곡식을 바치는 것)이나 공명첩(이름이 빈 관직 첩)을 돈을 주고 사서 양반이 될 수 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