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에 습도가 놉은 날에 더 덥게 느껴지는건 왜 그런건가요?
여름철에 더운날에 보면 같은 기온이라고 해도 습도가 높은 날이 더 덥게 느껴지는 것은 무슨 이유에서인가요?
기분탓인것지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습도가높으면 땀이 잘 증발하지못합니다.
땀은 피부에서 증발되며날아가면서 피부의 열을 빼앗아가는 흡열반응을 일으킵니다.
그래서 습한여름은 더 덥게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몸의체온을 낮추기위해서는 땀을내고 피부에서 증발되도록해야합니다. 증발되면서 주변 열을 가져가기때문입니다.
습한날에는 이 증발이 잘 일어나지않기때문에 체온이 떨어지지않고 더욱 덥게느껴집니다.
습도가 높으면 더 덥게 느껴지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우리 몸은 보통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땀을 흘립니다. 그리고 땀이 증발하면서 열이 함께 퍼져나가 체온이 낮아지는 것이죠. 하지만 습도가 높으면 땀 주변의 공기가 이미 수증기로 채워져 있어 땀이 제대로 증발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마치 젖은 옷을 입고 있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그 결과 땀이 증발하지 못하면 체온이 내려가지 않고 더 덥게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공기보다 물의 열전도율이 높은데, 습도가 높으면 주변 공기가 수증기로 채워져 마치 물에 둘러싸인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납니다. 즉, 물이 열을 잘 전달하기 때문에 같은 기온이라도 습도가 높을 때는 더 많은 열을 우리 몸에 전달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더 덥게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습도가 높은 날은 땀이 쉽게 증발하지 않아 체온 조절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더 덥게 느껴집니다
이는인체의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하지 못해 불쾌감을 증가시키는 원인이죠
여름철에 습도가 높으면 더 덥게 느껴지는 이유는 체온 조절을 위해 중요한 땀의 증발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습도가 높을수록 공기 중의 수증기 함량이 많아 땀이 증발하지 않아 피부에서 열이 배출되지 못하고 몸에 머물러 더운 느낌이 강해집니다. 이는 실제 온도보다 더 높은 체감온도를 느끼게 하는 주된 원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습도가 높으면 공기에 수분이 가득해서 땀이 증발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여름철에 습도가 높으면 더 덥게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