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경제 용어중 가계 수지에 대한 용어에 대해 알려주세요

경제면 기사를 보던중 가계 수지에 대해서 나오던데요 사실 경제용어에 부족함을 많이 느끼고 있다가 해당 용어이 대한 쓰임 및 어떤 경우에 사용하고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하는지 가계 수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가계수지는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계산한 결과를 말합니다.

    • 가계라고 하면 일반 개인의 가정집 부터 1인가구 까지를 말하며 일종의 소비와 소득의 차를 말합니다.

    • 이 때 부채도 계산됨으로 마이너스가 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 비슷한 용어로는 무역수지가 있으며 이는 수입과 수출의 차이를 흑자와 적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정에서 일정 기간의 수입(명목소득)과 지출을 비교해 남았는지 모자랐는지 표시한 것을 가계수지(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라고 합니다. 가계수지가 흑자를 냈다면 그 가정은 벌어들인 수입 일부만을 사용, 적자를 냈다면 수입 외에 빚을 추가로 얻어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는 통계청에서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조사해 국민의 소득수준 및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으로 선정된 가계에 가계부를 나누어 주고 한 달간의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도록 한 다음 이를 토대로 가계수지 통계를 작성해 발표하고 있습니다. 가계부의 소득항목에는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이전소득 항목이 있고, 비용항목에는 식료품비・주거비・수도광열비・보건의료비・교육비 항목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몰라서 찾아보니 가계수지는 각 가정에서 일정 기간에 벌어들인 돈과 쓴 돈을 비교해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나타낸 것으로 가계수지가 흑자를 냈다면 해당 가정은 벌어들인 것 가운데서 쓴 것을 의미하고, 적자를 냈다면 빚을 얻어 쓴 것이라고 보면 된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수지란 각 가정에서 일정 기간에 벌어들인 돈(명목소득)과 쓴 돈(지출)을 비교해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나타낸 것을 말하니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 가정에서 일정 기간에 벌어들인 돈(명목소득)과 쓴 돈(지출)을 비교해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나타낸 것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 수지란 각 가정에서 일정 기간에 벌어들인 명목소득과 지출을 비교해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나타낸 것을 의미합니다.

    가계 수지가 -라는 것은 지출이 더 많음을, 가계 수지가 +라는 것은 수입이 더 많음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수지라고 하는 것은 일정기간동안 가구의 총수입과 총지출을 말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총수입=총지출의 관계가 성립되게 되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 주신 가계수지는 경제를 이루는 한 구성 요소인 가정 내부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입과 모든 지출을 기록하는 일종의 장부입니다.

    수입 부분에는 월급, 투자 수익 등이 포함되고 지출 부분에는 생활비, 교육비 등의 모든 지출이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