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신통한봉고268
신통한봉고268

조의금은 꼭 홀수로 내야 되나요???

아디선가 들은건데 조의금은 축의금과 달리 홀수로 내야한다고 들었는디, 그러면 3 5 7 9만원으로 내다가 10만원 초과시엔 11만원을 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리호리한불곰386
    호리호리한불곰386

    조의금을 홀수로 내야한는말음 저음 듣는데..일반적으로 5만원 10만원 단위로 많이 하고 있습니다

    5만원권이 활화되면서 그런것같아요

  • 네, 맞습니다. 조의금은 일반적으로 홀수로 내는 것이 예의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3만원, 5만원, 7만원, 9만원 등 홀수 금액으로 내다가 10만원을 초과할 경우에는 11만원으로 내는 것이 맞다고 보지만. 10만원에서 딱 끊는것이..좋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성들여서 답변 드리는 사람입니다.

    부조금은 축의금이든 조의금이든 모두 홀수로 내는 것이 관례입니다. 이는 우리 전통에서 홀수가 양(陽)을 상징하는 길한 수로 여겨졌기 때문이에요.

    개인적으로는 일반적인 부조금 액수로 3만원, 5만원, 7만원, 10만원이 적당할 것 같습니다. 여기서 9만원은 '아홉수'처럼 흉재를 뜻한다고 해서 피하는 것이 좋아요. 10만원의 경우는 수표 한 장이라 홀수로 간주된다고 하네요.

    특히 조의금은 40만원도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해요. 숫자 4가 죽음을 의미하는 불길한 수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조의금은 일반적으로 홀수로 내는 것이 예의로 여겨집니다.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관습으로, 홀수는 생명과 관련이 깊고, 짝수는 상을 의미하기 때문에 홀수로 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역이나 가족의 관습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상황에 맞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불확실하다면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세상이 궁금한 고양이 입니다.

    조의금을 꼭 홀수로 내야 한다는 규칙은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이나 전통에 따라 홀수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예전의 뭐땜문에 그렇게 정해진거라고 하는데 11만원은 잘 안냅니다

    3.5.7.10.13.15 이렇게들 많이 냅니다

    저도 왜 그런지는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무슨 이유가 있었던거같아요

  • 조의금은 전통적으로 홀수 금액으로 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숫자 "2"가 "쌍"을 의미하는데, "쌍"은 불길한 의미로 여겨져 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3, 5, 7, 9만원 등 홀수 금액이 선호됩니다. 하지만 10만원 초과 시에는 반드시 11만원을 내야 한다는 규정은 없고, 개인적인 선택에 따라 금액을 정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금액에 대한 과도한 규칙보다는 예의를 갖추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