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경제 용어 중에 준거점 의존성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경제 관련(화폐) 뉴스를 읽던 중에

"문제는 화폐 환상이 가계 자산 축적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지방 거주자일 경우 화폐 환상이 클수록 가구의 순자산 규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서울 거주자는 결과가 뚜렷하게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언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손실 회피, 준거점 의존성 등 다양한 형태도 관찰됐다."를 확인 했는데,

여기서 준거점 의존성이란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거점 의존성(Reference Dependency)은 어떤 기준점을 가지고 있을 때 그 후에 일어나는 상황을 그 기준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자산이 4,0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줄어든 사람보다 1,000만원에서 1,100만원으로 늘어난 사람이 더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2. 이러한 이론은 행동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거점 효과라는 심리적 현상을 통해 사람들이 행복해지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한다. 사람들이 어떤 판단이나 선택을 할 때 자신이 기준으로 정해놓은 준거점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준거점 현상이라고 한다.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행동경제학자인 대니얼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에 따르면 우리가 밝기·소음·온도 등에 반응할 때는 준거점이 큰 영향을 미친다. 같은 온도라도 각자의 준거점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뜨겁게, 어떤 사람은 차갑게 느낀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거점 의존성(Reference Dependency)'이란 어떤 기준점을 가지고 있을 때 그 후에 일어나는 상황을 그 기준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거점 의존성은 어떤 것에 기준(준거점)을 두느냐에 따라 대상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같은 연봉 5천만원이라도 누구는 만족해하고, 누군가는 박봉이라고 하는 것을 생각하시면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거점 의존성은 한마디로 준거점이라는 뜻이

      기준점을 말하고 이러한 기준점에 의존하는 형태 등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준거점 의존성은 행동경제학에서 효율을 다룰 때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일종의 '효율의 기준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위의 예처럼 화폐환상이 가계 자산 축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준거점 의존성에 훌륭한 사례가 될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 드리자면 서울 강남의 30평대 아파트 평균 가격이 20억원이라고 가정하면 강남에 30평대 15억원 아파트에 거주하는 이는 준거점이 20억원이어서 상대적인 발탈감 즉, 낮은 효용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수도권으로 확장하게 되면 서울에 인접한 위성 도시가 아니면 15억원이면 40평대 이상의 아파트 소유자가 될 수 있는데도 말이죠.

      행동경제학은 경제학 주체들이 주요 의사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내외부 요소에 방점을 찍고 있는데 평균의 오류로 풀어서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추가로 직장인으로 연봉 8천만원을 받고 있는 이는 주위에 대다수가 1억원 이상의 연봉을 받고 있다면 박탈감을 느끼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