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사립 유치원, 사립초, 중고등학교 교복의 동복과 하복 디자인이 서로 다르면 통일성이 떨어지지 않나요?
1.
2.한국의 한 유치원이나 학교 투피스 기준인 교복 특징은 1번 사진처럼 동복과 하복 1번 디자인과 조합입니다. 동복과 하복 디자인이 서로 다르면 다른학교 교복처럼 보이고, 통일성이 떨어지고, 비용부담이 커지고 학생들이 동복 하복 상의 하의를 섞어서 입는 현상 발생을 유발합니다. 모든 학교의 여학생들의 자켓과 하복 셔츠의 공통점은 짧고 움직이기 불편하고, 어떤 옷은 간호사, 승무원틱합니다. 승무원틱하면 학생들의 하복 선호도가 떨어집니다. 여학생이 하복셔츠가 짧아서 생활복 반바지와 조합해서 못입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하복이 직장인틱해서 꺼려했습니다. 하의는 기후와 상관없이 입어도 문제가 없는 데, 디자인과 색상이 동복하복 서로 다르면 비용부담됩니다.저는 개인적으로 모든 교육기관용 교복은 여학생의 짧은 기장 상의 없애고,
1번 사진에 동복과 하복 2번 디자인 조합처럼, 2번 사진의 스즈메의 교복인 일본교복처럼, 긴팔셔츠와 반팔셔츠 칼라, 색상, 디자인을, 하의는 4계절용으로 디자인과 색상, 치마의 형태를 통일해야합니다. 긴팔셔츠, 반팔셔츠, 자켓은 긴기장으로 성별공통으로 통일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정장형은 정장형대로, 한복은 한복대로, 세일러복은 세일러복대로 입니다. 그래야, 동복과 하복의 통일성이 있고, 불편함, 섞어입는 현상이 줄어들고, 여학생일 경우 긴기장 셔츠에 바지, 치마 상관없이 편해지고, 자유롭게 입을 수 있습니다. 여학생의 짧은 기장인 자켓과 셔츠는 유치원용/학교용보다 놀이공원, 지역탐방, 여행, 놀러갈 때 패션으로 입는 교복룩이 낫습니다.
교복 디자인에 대해 안목이 아주 좋은 거 같습니다. 학생들 교복 동복과 하복 디자인 달라서 통일성은 떨어지지만 디자인이 비슷해도 통일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동복 같은 경우 겨울철 추위 때문에 대부분 학생들이 상의에 패딩이나 점퍼를 추가로 입기 때문에 마치 사복같은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교복은 어디까지나 학교생활에 필요한 복장으로 하교하고 난뒤 어떤 복장을 하든 학생들 개개인 성향이 있기 때문에 단체로 적용하기 무리가 따릅니다. 더군다나 교복은 비싼 편에 속하기 때문에 바깥 활동에 입다가 새로 구매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네, 맞습니다. 교복은 디자인과 색상을 통일해서 학생들이 편하게 입고 섞어입는 불편함을 줄이는 게 중요합니다.
긴팔과 반팔 셔츠, 자켓은 길게 만들어 성별과 계절에 상관없이 통일하는 게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통일성도 유지되고, 학생들이 더 편하게 입을 수 있어요.
짧은 기장의 자켓과 셔츠는 놀이공원이나 여행용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