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켓의 이오스 입출금이 안되요 스왑도 안되고
TokenPocket에 보유 중인 EOS / USDT.EOS 자산이
Transit Swap 등 DApp에서 스왑도 안 되고,
거래소 입금도 안 되어 출금이 전혀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EOS 메인넷 자산을 출금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이나
Vaulta(A) 전환 후 경로가 있다면 안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TokenPocket 지갑에서 EOS 및 EOS/USDT 자산의 입출금과 스왑이 모두 차단된 상태라면 , 이는 네트워크 또는 DApp 연동 문제 , 혹은 해당 지갑의 EOS 지원 정책 변경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EOS 메인넷 자산이 스왑 및 거래소 입금도 불가능한 상태라면 사실상 지갑 내 자산이 ' 고립 ' 된 셈입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Vaulta (A) 로의 전환 시도 및 가능성 확인
Vaulta(A)는 일부 EOS 기반 자산 회수를 위한 통로로 소개되고 있는 솔루션입니다.
만약 TokenPocket 측에서 Vaulta를 통한 자산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면 , 다음과 같은 절차가 필요합니다.
ㆍ TokenPocket 내 DApp 브라우저를 통해 Vaulta 접속 : Vaulta가 EOS 메인넷을 지원하는지 확인 후 , TokenPocket 과 연동.
ㆍ 자산 스왑 또는 래핑 전환 기능 확인
예) EOS -> veEOS 또는 EOS ->wEOS (wrapped EOS) 같은 형식으로 변환 가능 여부 확인.
ㆍ 전환 후 EVM 체인 (예 : BSC , ETH 등)으로 브리지 가능 여부 체크 : 스왑 후 EVM 체인으로 브리지하여 출금 가능성이 있을 경우 , MetaMask 등 다른 지갑으로 이동 가능.
Vaulta가 실제로 지원하는지 , 혹은 EOS 메인넷과 연동 가능한 상태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 최신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 또는 디스코드 , 텔레그램 커뮤니티에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Anchor 지갑 등 EOS 전문 지갑으로의 이관 고려
TokenPocket이 EOS 전송을 완전히 차단한 것이 아니라면 , 다음 방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ㆍ EOS 계정 프라이빗키를 Anchor 지갑 등으로 복구 : Anchor는 EOS 메인넷 기반에서 활발하게 유지되는 지갑 중 하나로 , 직접 출금이나 DApp 연동이 가능한 경우가 많음.
ㆍ 복구 후 Scatter나 블록 익스플로러 기반 전송 시도 : EOS Authority , Bloks.io 등에서 직접 트랜잭션 생성해 수동 출금 시도 가능.
단 , TokenPocket에서 EOS 계정이 ' 임시 계정 ' 이거나 내부 생성한 서브 계정일 경우 프라이빗키 추출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이 점은 먼저 확인이 필요합니다.
(3) TokenPocket 고객센터 및 커뮤니티 통한 지원 요청
ㆍ 공식 홈페이지 , 텔레그램 , 트위터 등 TokenPocket의 공식 채널을 통해 문의
ㆍ EOS 네트워크 지원 중단 여부 , Vaulta 연동 지원 여부 명확히 확인
ㆍ 자산 이동이나 전환 절차에 대한 가이드 요청
결론적으로 , 현재 EOS자산이 TokenPocket 에 고립된 상태라면 , 가장 현실적인 첫 단계는 Vaulta 나 Anchor 지갑을 통한 우회 경로 확보입니다.
Vaulta 가 EOS를 지원한다면 DApp을 통해 EOS-> 다른 체인 자산으로의 변환을 시도하고 , 이후 출금이 가능한 외부 지갑으로의 변환을 시도하고 , 이후 출금이 가능한 외부 지갑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다만 , 각 경로가 실제로 지원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며 , 지갑의 프라이빗키 접근이 불가능한 구조라면 외부 전송은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 가능한 모든 공식 채널을 통해 정보를 확보하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토큰포켓의 입출금이 되지 않고, 스왑이 되지 않는다면, 이는 어플내 상황을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가령 eos의 스테이킹이 언스테이킹으로 전환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것이 바로 전송이 되는 것이 아닌, 일정한 시간이 소요가 됩니다. 보편적으로 약 3일 정도의 시간 이후에 전송이 제대로 되기 떄문에 이러한 시간을 잘 지켜졌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전송을 위한 가스비라고 하는 이체비가 포함이 되어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