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색깔이 다른이유가 궁금해요
남해바다인데요
해안선에서 멀어질수록 바다색이 더 진해지는 이유가 뭘까요??
수심과 연관이 있는건지 정확한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물 분자 자체가 푸른빛을 가장 많이 산란시키는 특성을 띠고 있습니다.
태양 빛이 바다에 닿으면 파장이 가장 긴 붉은빛이 수심 5m 이내 깊이에서 가장 빠르게 흡수됩니다. 그리고 가장 늦게 흡수되어 바닷속 깊은 곳까지 도달하는 푸른빛이 산란되며 바다가 푸른색을 띠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물 분자 자체가 푸른빛을 가장 많이 산란시키는 특성을 띠고 있습니다. 태양 빛이 바다에 닿으면 파장이 가장 긴 붉은빛이 수심 5m 이내 깊이에서 가장 빠르게 흡수됩니다. 그리고 가장 늦게 흡수되어 바닷속 깊은 곳까지 도달하는 푸른빛이 산란되며 바다가 푸른색을 띠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가 깊어질수록 빛이 투과되고 산란률이 낮아져서 검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수심과 빛 두가지의 연관성이 큰겁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색상은 햇빛이 물에 산란되며 결정됩니다.
또한 바닷물에 포함된 부유물이나 박테리아, 낮은 수심에서는 바닥의 진흙과 모래에 의해 결정되기도 합니다.
육지와 먼 바다 역시 이러한 이유로 색상이 결정되며 대부분 바닷물에 햇빛이 산란되며 짙은 파란색을 띄게 됩니다.
- 바다가 보통 파란 이유는
수심이 깊은 바다를 통과하는 빛은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이 안쪽으로 흡수되어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만 표면으로 반사되어 우리 눈에 파랗게 보입니다.
그 외 다른 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 청록색 : 산호초로 인해 생성된 식물성 플랑크톤이 녹색 색소를 띄기 때문입니다.
- 황색 : 수심이 얕고 갯벌이 있기 때문입니다.(진흙 색)
- 검은색 : 염도가 낮고 용해된 산소가 부족해 박테리아가 서식하게 됩니다.
박테리아가 죽으면서 생겨난 검은색을 띤 황화수소 때문에 까맣게 보입니다.
바다색이 파란 이유는 빛의 파장과 산란 때문입니다.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여러 빛 중에 파란색이 파장이 짧아 하늘에서 모두 산란되어 퍼지게 되고, 나머지 빛은 파장이 길어서 지표까지 다다르게 됩니다. 하여 하늘은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빛이 바다로 내려갈때 파장이 가장 짧은 파란색은 해수면에서 산란되어 퍼니게 되고, 나머지 색상은 바다에 모두 흡수 됩니다. 하여 바다가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은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색은 주로 빛이 반사되어 보이는 빛의 스펙트럼입니다.
때문에 주로 하늘 빛이 반사되어 보이게 되는데 먼 바다의 경우 수심이 깊어 반사되는 빛의 양보다 빛이 깊이 들어가 흡수되는 빛이 많다보니 반사되어 우리 눈에 닿는 빛의 양이 적어서 어둡게 보이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맑은 물이 푸른 이유를 푸른 빛이 많이 산란되기 때문으로 오해하기 쉽다. 그러나 그 이유는 물이 붉은 색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이는 긴 튜브에 물을 넣고 투과된 빛을 보면 푸르게 보이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물은 가시광선보다 긴 파장의 (에너지가 작은) 적외선을 흡수한다. 적외선 흡수는 물 분자의 진동에너지 전이에 따른 것이다.
물에는 3개의 진동 방식(mode)이 있는데, 확률적으로는 크지 않으나, 이들 진동 방식의 조합으로 붉은 색 계통인 660 nm 파장 부근의 빛을 흡수하는데, 3 m 깊이의 물에서는 이 파장의 빛이 단지 44 %만 통과한다. 물에서 흡수되지 않은 푸른빛이 물속의 미립자나 바닥에서 산란(반사)되어 깊은 물이 푸르게 보이는 것이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이 물에서 반사를 일으킵니다. 이는 물의 깊이가 깊을수록 파장이 긴 붉은색까지 도달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수면을 통해서 반사가 되는겁니다.
이 파장에 따라서 다르게 보이게 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