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맑은시냇가
맑은시냇가

사회복지학에서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는 어떻게 되나요?

에릭슨은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를 분류한 학자입니다.

그렇다면 그는 사회복지학에서 발달 단계를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학에서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는 적어드리면 다음과 같겠습니다.

    영아기(0~1세): 신뢰감/불신감 - 양육자가 기본 욕구를 충족 시켜주면 신뢰. 그렇지 않으면 불신이 형성 됩니다.

    초기 아동기(1~3세): 자율성/ 수치심 -배변 훈련 등 자율성 발달 과정에서 부모의 반응이 중요 합니다.

    유아기(3~6세): 주도성/ 죄책감 - 탐색과 실험을 통해 주도성이 발달하며, 부모의 지지가 필요합니다.

    학령기(6~12세): 근면성/열등감 - 학교 생활과 사회적 기술 습득이 중요하며 성취감이 부족하면 열등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12~18세): 자아정체감/정체감혼란 - 자신의 역할과 정체성을 탐색하며 확립하면 성실함이 강화 됩니다.

    성인초기(20~40세): 친밀감/고립감 - 타인과의 친밀함 형성이 중요하며 자아정체감이 확립 되어야 합니다.

    성인중기(40~65세): 생산성/침체감 - 가정과 사회에 대한 책임감과 생산성이 강조됩니다.

    노년기(65세 이상): 자아통합 /절망감 - 삶의 의미를 통합하고 그렇지 않으면 절망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은 8단계로 나누고 연령별로 나눕니다. 8단계는 0세에서 1세는 1단계로 신뢰와 불신이며 주요 덕목은 희망이고 사회복지적 의미는 안정된 애착 형성, 보호자와의 관계가 핵심입니다. 2단계는 1세에서 3세이고 자율성과 수치심이며 주요덕목은 의지이며 사회복지적 의미는 자율성 존중, 과도한 통제는 수치심 유발입니다. 3단계는 3세에서 6세로 주도성과 죄책감이며 주요덕목은 목적이고 사회복지적 의미는 탐색과 표현의 기회 제공, 죄책감 예방, 4단계는 6 ~ 12세이며 근면성 대 열등감이며 주요덕목은 능력이며 사회복지적 의미는 학습과 성취 경험, 자존감 형성 지원입니다.

    5단계는 12 ~ 20세이며 심리사회적 위기는 정체감 대 역할혼란이며 주요덕목은 충실성 사회복지적 의미는 자아 정체성 탐색, 진로와 관계 상담 중요합니다. 6단계는 20 ~ 40세 이며 친밀감 대 고립감이며 주요덕목은 사랑이며 사회복지적 의미는 관계형성 지원, 고립 예방을 위한 개입, 7단계는 40 ~65세이며 생산성 대 침체성이며 주요덕목은 관심이며 사회복지적 의미는 사회적 기여와 역할 유지, 중년기 위기 대응이 되겠습니다. 8단계는 65세 이상이며 심리사회적 위기는 자아통합 대 절망감이며 주요덕목은 지혜이며 사회복지적 의미는 삶의 의미 되새김, 죽음에 대한 수용 지원이 되겠습니다.

    1. 신뢰감 대 불신감(0~1세) : 영아는 양육자와의 일관된 상호작용을 통해 세상을 신뢰하거나 불신하게 됩니다. 신뢰가 형성되면 긍정적 세계관과 희망이 발달합니다.

    2. 자율성 대 수치심/의심(1~3세) : 유아는 독립성과 자율성을 키우며, 부모의 지지와 격려가 중요합니다. 과잉 통제 시 수치심과 의심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주도성 대 죄의식(3~6세) : 주도적으로 활동하고 목표를 세우며, 사회적 규칙을 배우게 됩니다. 부모의 반응에 따라 죄의식이나 자신감이 형성됩니다.

    4. 근면성 대 열등감(6~12세) : 학교와 사회에서 근면성과 성취감을 배우며, 또래와의 비교에서 열등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란(12~20세) : 청소년은 신체적·사회적 변화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역할 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친밀감 대 고립감(20~45세) : 성인초기에는 타인과의 친밀감을 형성하거나 고립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7. 생산성 대 침체감(45~64세) : 중년기에는 가족, 직장 등에서 생산성을 발휘하거나 침체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8. 통합성 대 절망감(65세 이상) : 노년기에는 삶의 의미와 통합을 추구하거나 절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학에서 발달단계는 신체적인 변화만 국한되지 않고 신체, 인지, 정서, 사회성 등 발달단계마다 나타나는 과업과 특성을 이해하여 개인을 더 효과적으로 돕고 지원할 수 있습니다. 발달단계이론은 프로이트, 에릭슨, 피아제, 콜버그 등 다양한 학자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전기, 아동기 후기, 청소년기, 성인초기(청년기), 성인중기(중년기), 성인후기(노년기) 중년기, 로 구분하고 있으며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아기(신뢰감, 애착형성)~ 유아기(자율성)는 부모교육과 아동복지서비스, 아동기(주도성과 근면성)는 학교사회복지와 놀이치료, 청소년기(정체감 형성, 자율성)는 진로상담 및 정신건강 지원, 성인기(친밀감, 생산성)는 직업재활 및 가족상담, 중년기는 노후준비와 건강 및 스트레스 관리, 노년기(자아통합, 삶의 회고)는 노인복지서비스와 죽음 준비 등으로 발달단계마다 중요한 과업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