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두통약 자주 먹으면 안되나요?

머리가 아플 때 두통약 자주 먹는 편인데요

주변사람들이 두통약 함부로 쉽게 먹는거 아니라고 하더라고요...

병원까지 갈 정도로 심각하지 않아서 약국에서 많이 사먹었는데

왜 자주 먹으면 안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현보민 약사
      현보민 약사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현보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약을 잘 안먹으려하는 습관때문에 그렇게들 말하는데 마약성 진통제가 아니라면 실제로 습관성 내성 이런거 생기지 않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돼요. 대신 원인을 찾아 치료하시려는 노력은 필요합니다. 신경성으로 두통이 오는 것인지 , 혈관계의 문제인지, 호르몬의 영향인지, 일시적인지 원인에 따라 근본적 치료법이 다르니 치료를 하셔야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진통제의 경우 하루 최대용량은 4000미리이며 그 이상 복용시 간독성을 나타내기에 주의를 요합니다.

      성인의 경우 한번 복용시 1-2정 복용가능하고 하루 최대 6정을 넘으시면 안됩니다. 음주 전후 복용시 간독성으로 인한 치명적인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기에 주의를 요합니다.

      따라서 진통제를 남용하기보다는 두통의 원인 진단을 위하여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보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두통이 심하시다면 두통약을 먹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너무 자주 먹게 되면

      위에 부담이 가서 나중에 위벽이 얇아지는 등 위염 증상이 올 수 있구요.

      이 때문에 식이요법이나, 영양제 등을 통해서 편두통을 관리하는 쪽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두통약의 경우 단기간 먹는 것은 괜찮습니다.

      -두통약은 보통 타이레놀이나 이부프로펜과 같은 소염진통제를 먹게 됩니다. 타이레놀은 하루에 4000mg, 이부프로펜은 하루에 3200mg이상 드시면 안됩니다.

      -가끔씩 생기는 두통의 경우 두통약을 먹어도 됩니다. 다만 두통약을 1주일 연속 먹는 경우 병원에 방문하여 검진을 받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길 바라며,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준수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어떤 약제를 복용 중이신지 본문 만으로 알 수 없으나, 보통 두통 증세에 사용하는 진통제인

      타이레놀 등의 Acetaminophen 이나 이지엔6 애니/프로/스트롱 등의 NSAIDs (Ibuprofen / Dexibuprofen / Naproxen) 등

      위와 같은 일반의약품 진통제 성분들은 비마약성 진통제 성분으로 의존성이나 내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필요하신 경우 용법·용량에 맞게 복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진통제로 내성이 생기질 않습니다

      다만 진통제로는 사람에 따라 타이레놀 계열과 부루펜 계열 등

      느끼는 진통 효과가 다르므로 한 번 복용하시고 잘 듣는 약은

      기억해주시는 편이 좋습니다

      약에 대한 특징으로는 타이레놀 성분은 간에서 대사 되기 때문에

      간이 좋지 않은 분들은 피하고 부루펜 계열은 위에 자극을 줄 수 있어

      위가 좋지 않은 분들은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내성은 없더라도 부작용은 있으니 진통제에 의존하기 보다는

      평소 생활습관이 어떤지, 약으로 개선이 안 되는 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상담을 통해 통증을 완화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직접적으로 진통제는 내성이 생기지는 않지만

      타이레놀 계열인 아세트아미노펜은 간에 무리가 가고

      부루펜 계열은 위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만성적인 진통제 복용은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문가와 상담하에 최대한 약을 줄이시면서

      원인을 찾아가는 게 중요합니다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랄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진통제는 내성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걱정하시지 말고 복용하셔도 됩니다.

      처방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진통제로 대표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과 NSAIDs가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소염효과가 없는 해열진통제로 위장장애가 적고 몸살, 두통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간에서 해독되는 성분이기에 음주 전후로 복용하시는건 좋지 않습니다.

      NSAIDs는 소염진통제로 두통, 편두통, 근육통, 생리통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진통제입니다. 보통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잘 듣지 않는 통증에도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간독성은 없지만 위장장애나 신장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종류로는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나프록센이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