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센트용 자동화재 진압 테이프가 있던데 이게 뭐 어떤식으로 소화기능을 한다는 건가? 효과?
자동화재 진압은
기본적으로
열과 연기 또는 화염을 감지하는 감지기를 통해 화재발생으을 인지하는 걸로 아는데요
감지 즉시
물이나 분말, 가스 등의 소화제를 자동으로 방출해서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전기적, 비전기적 방식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Firetrace 등은 열을 받아 특정 온도에서 소화관이 터지면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방식으로 압니다.
근데 최근에
무슨 광고를 보다보니
콘센트에 요즘 불이 많이 나는데
거기에 자동화제 진압 테이프를 붙인다는 내용을 ㅗ밨는데요
이게 대체 무슨 방식으로 소화를 하는건지
그리고 효과적인지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제품들은 주로 소화 패치 또는 119 스티커 소화기 등으로 불리며 온도 감응형 자동 소화 장치의 일종입니다.
이 제품의 소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리 : 테이프 내부에 특수 소화약제가 캡슐 형태로 들어있습니다. 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온도가 일정 수준(약 100~120℃) 이상으로 급상승하면 열에 민감한 캠슐이 팽창하거나 터지면서 내부에있던 소화약제를 자동으로 방출하여 불을 끄는 방식입니다. 방출되는 소화약제는 주로 친환경적인 고체 에어로졸이나 가스계 소화 물질(예:FK-5-12)이며, 이는 산소 공급을 차단하거나 연소 반응을 억제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효과 : 콘센트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발생하는 초기화재, 특히 전기 화재(과열,누전 등으로 인한) 진압에 효과적입니다. 화재 확산을 막고 큰 피해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수있으며 상시 감시가 필요없이 자동으로 작동한다는 장점이있습니다. 설치 또한 간편하여 콘센트나 분전반 등 화재 위험이 있는 곳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스티커 형태의 소화기는 초기 단계의 소규모 화재에만 유효하며, 이미 화염이 크게 번진 경우에는 진압 효과가 제한적일수있다는 점을 인지하시는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소화 패치는 보조적인 안전 장치로 활용하고 정기적인 전기 안전 점검과 올바른 콘센트 사용 습관을 유지하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불이 붙지 않는 재질의 테이프를 주변에 붙여서 화재가 번지는 것을 예방하게 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테이프 내부에 액체 소화약제가 들어 있어 액체캡슐이 임계온도에 도달하면 파열되고 소화약제가 방출되어 열을 흡수하거나 산소공급을 차단하여 불을 끄게 됩니다. 이는 주로 초기 화재 진압으로 콘센트 및 멀티탭 등 전기 단자에 사용되어 화재를 막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